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똑똑! 실례합니다~ 화장실은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다!Part2.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Part3.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Part4.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도움 유지선(영국 브리스톨 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 연구원),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조재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쾌변 성! 공! 오잉? 그런데 이건 뭐지. 똥을 싸니까, 물건을 살 수 있는 화폐를 주는 곳이 있네. 똥이 돈이 된다고? 배설물로 물건을 산다? 똥본위화폐오늘 화장실 다녀온 친구들, 모두 10꿀 받아가세요! ‘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배설물에 가치를 매겨 개발한 새로운 화폐예요. 배설물은 ... ...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참여하면 포기해야 하는 것들이 생겨요. 중요한 부품이나 칩이 들어가야 하는 곳을 예쁜 외형을 만들기 위해 없애달라고 하기 힘드니까요. 처음부터 같이 설계하면 서로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죠. ●스누맥스가 나선형 몸매를 지닌 이유 Q 협업을 하면서 로봇의 모양이 계속 바뀐 사례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발명했다고 알려졌어요. 안경을 만들던 그는 우연히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치면 먼 곳에 있는 물체가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이 원리를 적용해 1608년, 기다란 원통에 두 개의 렌즈를 겹쳐서 만든 최초의 망원경을 개발했답니다.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프로브에 퀀텀닷을 결합하면 퀀텀닷의 발광 특성이 손실되거나, 반대로 원치 않는 곳에서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체 내에서 프로브와 퀀텀닷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퀀텀닷 표면 기술이 개발되면 낮은 비용으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김 교수는 “암처럼 항원이 여러 ... ...
- [수학뉴스] 전국 곳곳에 부는 AI 교육 바람수학동아 l2020년 04호
- AI) 수업을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2020년도 AI 융합 교육과정 운영고’ 34곳을 선정해 3월 9일 발표했습니다. 15개 지역에서 1~5개 학교를 선정했으며, 서울과 경기는 5개교씩, 충남·전남·경북에서 각각 3개교가 뽑혔습니다.2020년은 AI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교구, 교실 등을 마련하고 ... ...
- [핵배송 비결1] 고객데이터로 주문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달리 1단계는 주문을 접수하기 전에 처리해야 합니다. 다양한 물건을 팔수록 물건을 여러 곳에서 사들여야 하고, 특히 식재료의 원산지는 대부분 수도권 밖에 있어 거리가 멀기 때문이지요. 만약 주문이 들어오고 나서야 원산지에서 물건을 가져오면 핵배송은 커녕 고객들은 ‘상품 준비중’이라는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지을 수 있죠?먼저 저희의 작업 방식을 소개할게요. 저희는 몸 안에 ‘밀랍 샘’이라는 곳이 있어요. 여기서 가장 기본적인 집의 재료인 밀랍이 비늘조각처럼 분비됩니다. 건물로 치면 철골과 같은 존재죠. 이 밀랍을 분비하며 천천히 360° 회전합니다. 그럼 벌 한 마리를 중심으로 밀랍으로 만들어진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지질학적 특징을 알 수 있어요. 만약 일부 퇴적층에서 조개의 흔적 화석이 발견된다면, 그곳은 과거에 바다였을 확률이 높지요. 그렇다면 먼 미래의 후손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을 화석을 통해 추측한다면, 어떤 시대로 알게 될까요? 아마도 치킨의 시대로 볼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답니다.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flyby)로 태양계를 빠져나갔다. 최 본부장은 “카이퍼벨트는 태양계의 냉장고 같은 곳”이라며 “태양과 가까운 지역의 행성과 소천체는 강한 태양풍 등의 영향으로 상태가 변했지만, 이런 영향이 미미한 카이퍼 벨트 지역은 태양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로코스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