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A.I. vs.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사용자들은 데이터 어스를 돌리는 사설 서버에서 디지언트를 계속 키웁니다. 그러나 그곳은 고립돼 있어서 디지언트에게 충분한 사회화 교육을 하기 어렵습니다. 디지언트들은 성장에 악영향을 받습니다. 애나를 비롯한 디지언트 사용자들은 디지언트를 리얼 스페이스에 이식할 수 있는 방법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당장 폭발해도 이상할 것이 없는 항성(별)입니다. 문제는 베텔게우스가 지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만큼 지구에 미칠 영향입니다. 이 별이 폭발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사에서 답을 확인해보세요. 과산화수소에 대해 여태 몰랐던 사실 (106p)☞바로가기 피부에 상처가 나면 바르는 소독약의 대명사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말고도 기생충들은 기발한 일을 많이 한다. 새조충(Schistocephalus solidus)이 물 깊은 곳에 사는 가시고기에 들어가면 원래 찬물을 좋아하던 가시고기가 따뜻한 물을 좋아하게 돼 햇빛이 드는 수면으로 올라오는데, 그 결과는 수면 위를 날던 새한테 먹히는 일이다.연가시(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됐다)는 ... ...
- 의사가 쓰고,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리는 본격 의학 웹툰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기부하려고 했다”며 “그런데 이국종 교수님이 직접 연락해 환경이 더 열악한 곳에 써달라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의사인 이 씨의 어린 시절 꿈은 소설가였다. 홍 씨의 꿈은 만화가였다. 이 씨는 “앞으로는 모든 학문이 융합되는 추세인 만큼 다양한 분야를 공부해두면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 ...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술술 읽혀요‘학생들의 입을 벌려 소방 호스로 물을 마시게 한다’캘리포니아공대 수업을 설명할 때 쓰는 표현이다. 지난 3년간 이곳에서의 공부량을 생각해보면 무리한 비유 ... 졸업 후에 접하기 어려운 분야를 학부생 신분으로 폭넓게 배워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곳이라 자부한다 ... ...
- 알콰리즈미의 나라 K-수학으로 하나 되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별 만들기 등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부스가 마련돼 어느 하나 빠질 곳 없이 문전성시를 이뤘지요. 축제가 진행된 기간인 1월은 우즈베키스탄에서 방학이 아니었음에도 많은 학생이 찾아왔는데요,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9월에 새학년을 시작하고 5월 말에 종업합니다. 중학교, ...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쥐를 높은 곳에 올려두고 강한 빛을 비추자 반대의 결과가 나왔어요. 연구진은 높은 곳을 싫어하고 야행성인 쥐가 분위기와 기분에 반응해 싫은 상태에서는 간지럼을 타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어요. 이어 지난해 9월, 같은 연구팀은 쥐에게 간지럼으로 보상하며 숨바꼭질 놀이를 가르쳤어요. ... ...
- [핫이슈]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60마리가 넘는 반달가슴곰이 살고 있어. 개체 수가 많아지다 보니 몇몇은 새로운 살 곳을 찾아 산 넘고 물 건너 김천의 수도산이나 구미의 금오산으로 떠나기도 했지. 그러다 차와 부딪쳐 다친 곰도 있어. 사람과 반달가슴곰이 함께 살기 위해서 새로운 노력이 필요한 시점인 거야.생태계를 ... ...
- [만화뉴스] 뼈가 부러졌다고? 반창고 붙이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붕소화합물과 아데노신 의 결합은 시간이 지나면 풀려요. 그래서 반창고를 뼈가 부러진 곳에 붙여두면 그 부위에만 아데노신이 활성화되지요. 시니 바르게스 교수는 “쥐에게 실험한 결과 반창 고 속 아데노신이 다른 기관에 작용하지 않는다는 걸 확인했다”고 말했어요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천천히 녹고 있는 영구동토 지역 5곳과 비교했지요. 그 결과 열카르스트가 만들어진 곳에서 1.25~1.9배 더 많은 탄소가 배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한편 2018년 7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팀은 영구동토가 녹으며 탄소를 품고 있는 시간이 짧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알래스카 배로우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