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경 넘나드는 초원수리, 연구비 거덜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 Q 민은 지금 어디 있나요?예멘에 있어요. 지난해에는 겨울을 인도에서 보냈는데, 그곳엔 저희와 함께 활동하는 사진작가님이 계셨어요. 그래서 민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진을 보내줬지요. 그런데 예멘은 저희도 예상치 못했던 월동지라서 아직 어떤 연구자도 민을 보지 못했어요. 추적기는 5년까지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생각했지만, 움직임을 보고 행성이라고 생각을 바꿨어요. 그런데 세레스의 궤도 가까운 곳에서 비슷한 소형 천체가 여럿 발견되었어요. 결국, 세레스는 행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이들과 함께 ‘소행성’으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에요!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새로운 분류인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Exogorth)’다. ‘제국의 역습’을 본 사람들이 품었던 ‘저 괴물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대체 뭘 먹고 살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설정도 생겼다. 엑소고스는 규소 기반의 생명체다. SF에서 종종 가능성을 탐구하는 생명 형태다. 인간을 비롯한 지구 생명체는 탄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생명체를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학생들 스스로 관심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찾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그런 일들을 해내는 곳이다. 현재 나는 이런 환경에서 중학교 때 꿈꿔왔던 큰 세계로 나가기 위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다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부모님을 뵐 면목도 없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방황했다. 하지만 결국 기댈 곳은 가족뿐이었다. 부모님께 된통 혼날 각오를 하고 돌아갔다. 감사하게도 부모님은 너그럽게 받아주셨다. 이후 나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지내며 정신을 바짝 차렸고, 이듬해 현재 재학 중인 카를스루에공대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적힌 팻말도 눈에 띈다. 수학 동아리방이라기보다 목공예 동아리방 같은 곳에서 FINDER는 무얼 하는 걸까? “뭐든지 다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졸업을 앞둔 주성용 학생에게 동아리 활동을 마친 소감을 묻자 이렇게 답했다. FINDER 학생들은 활동에 필요한 수학 교구를 사지 않고 직접 설계하고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넓은 범위에서 균일하게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했어요. 센서가 없는 곳을 눌러도 피부에 전류가 발생해 주변 센서가 눌린 위치를 알아차리지요. 2018년에는 로봇 전신에 뿌리는 액체인공피부를 개발하기도 했어요. 김 교수는 “촉감은 로봇이 어딘가 부딪혀 부서지지 않기 위해서도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소리를 더 잘 들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놀이공원 매표소처럼 주변 소음이 심한 곳이 대표적이다. 매표소 바깥에 마이크를 설치해 소음을 녹음한 뒤 이 소음과 정반대의 파형을 만들어 매표소 창구 안 스피커로 쏜다. 그러면 매표소 창구 직원이 고객의 목소리만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정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됐다. 텔레메트리는 최대 2000km 떨어진 곳에서 보낸 정보까지 수신할 수 있다. 한국과 러시아 연구팀은 발사체를 지상에서 시험할 때나 비행 중에, 혹은 비행이 종료된 후에 발사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텔레메트리 장비 ‘리톤-5’를 공동으로 ... ...
-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높은 열로 먼지가 가스로 바뀐다는 가설을 뒷받침하지요.지금 태양에서 2400만km 떨어진 곳까지 다가간 파커 솔라 프로브는 앞으로 2025년까지 태양과의 거리를 점차 좁혀 21차례 더 태양을 관측할 예정이에요. 2024년에는 616만km까지 최근접하지요. 이러한 관측은 태양의 비밀을 새롭게 밝혀내는 데 큰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