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신박한’ 설정으로 시선을 끌더니, 완벽한 군무와 중독성 강한 타이틀곡, 시선 둘 곳 없는 황홀한 비주얼로 ‘군백기’가 무색할 만큼 멋지게 왕좌를 탈환했다. 여느 인기 아이돌이 그렇듯, 엑소가 컴백하자 음원 차트에 있던 상당수의 노래는 높은 순위를 잠시 내줘야 했다. 그런데 평소라면 물 ... ...
-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높은 열로 먼지가 가스로 바뀐다는 가설을 뒷받침하지요.지금 태양에서 2400만km 떨어진 곳까지 다가간 파커 솔라 프로브는 앞으로 2025년까지 태양과의 거리를 점차 좁혀 21차례 더 태양을 관측할 예정이에요. 2024년에는 616만km까지 최근접하지요. 이러한 관측은 태양의 비밀을 새롭게 밝혀내는 데 큰 ... ...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백악기, 아시아 지역에 살던 탈라루루스(Talarurus) 공룡에 대해 들어봤나요?탈라루루스는 머리, 등, 꼬리가 작은 뼛조각으로 싸여있어 갑옷을 입은 듯 보이는 ‘갑옷공룡’ ... 바얀시레층: 약 1억 년 전 형성된 퇴적 지층으로 물고기, 거북, 공룡과 같은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는 곳이다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생각했지만, 움직임을 보고 행성이라고 생각을 바꿨어요. 그런데 세레스의 궤도 가까운 곳에서 비슷한 소형 천체가 여럿 발견되었어요. 결국, 세레스는 행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이들과 함께 ‘소행성’으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에요!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새로운 분류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벗겨진 머리까지…. 얼마나 닮았는지 한번 볼래? 독수리(禿수리, vulture) 독수리는 다른 곳에 비해 유난히 머리 부분의 털이 짧아 대머리라고 오해받기도 해요. 생물의 사체가 먹이인 독수리는 머리 깃털이 길면 먹이를 먹다 사체에 있던 각종 균이 묻을 수 있어, 머리 부분엔 짧은 깃털이 나도록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적힌 팻말도 눈에 띈다. 수학 동아리방이라기보다 목공예 동아리방 같은 곳에서 FINDER는 무얼 하는 걸까? “뭐든지 다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졸업을 앞둔 주성용 학생에게 동아리 활동을 마친 소감을 묻자 이렇게 답했다. FINDER 학생들은 활동에 필요한 수학 교구를 사지 않고 직접 설계하고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되는지 현황을 파악했지요. 또, 왕우렁이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고, 논농사를 하는 6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농가의 허락을 받고 서식지를 조사했어요. 또, 전북농업기술원의 농업연구사, 익산농업기술센터 왕우렁이 지원사업 담당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영농조합법인 이장님 등을 ... ...
- 보이저…태양권을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성간 물질과 부딪치며 음속(약 초속 340m) 정도로 느려지죠. 태양으로부터 75~90AU 떨어진 곳에 있는 이 경계를 ‘말단 충격파’라 해요. 하지만 태양풍이 느려졌다고 해서 바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에요. 말단 충격파 너머까지 나아간 뒤 성간 물질과 섞이면서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사라지죠. 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물이야, 로봇이야? 생체모방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해요. 사진 속 뱀 로봇도 생체모방 로봇 중 하나지요. 뱀 로봇은 뱀이 굴곡진 곳을 잘 이동한다는 장점을 활용했어요. 울퉁불퉁한 지형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이나, 몸속의 목구멍이나 장처럼 구불구불한 관을 이동하는 수술용 로봇으로 개발되고 있지요. 이외에도 모기의 흡입력, 파리의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7월, 전력을 아끼기 위해 우주 방사선 카메라의 보온 장치를 껐어요. 보이저 2호가 있는 곳은 영하 59℃까지 떨어지는 성간 우주라 보온 장치가 없으면 기계가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지요. 다행히 우주 방사선 카메라는 아직 데이터를 잘 보내주고 있어요. 보이저 2호는 연료가 떨어지는 2027년까지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