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다이아몬드가 반짝이려면 입사한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되돌아 나오도록 정밀한
길이
와 각도로 연마해야 한다. 만약 연마가 정밀하지 못하면 빛이 뒤로 빠져나가 버린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다이아몬드 모양은 1919년 폴란드의 다이아몬드 가공 장인인 마르셀 톨코우스키가 발명한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있었다면 공부 잘했을 텐데…. 그나저나 실제로는 이
길이
옛날에 서울가정법원 가는
길이
라 이혼하려는 부부가 많이 지나갔대. 그래서 돌담길을 같이 걸으면 헤어진다는 속설이 생겼다고 하더라.” 소년이 별안간 진지한 얼굴로 덧붙입니다. “우리는 평생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자. 알았지?”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변한다. 사람의 혈액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건 밤낮으로
길이
가 달라지는 막대로 1m의
길이
를 정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수많은 실험과 토론을 거쳐 두 가지 기준이 세워졌다.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는 온도단위인 섭씨온도(℃)와 국제 표준 단위인 절대온도 켈빈(K)이다.섭씨온도는 물의 어는점보다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충분했다.미국 테네시대의 고든 버가트 교수팀은 십자가를 두 개 겹친 모양으로 8방향의
길이
난 미로를 이용해 거북의 공간기억능력을 검사해 봤다. 검사를 위해 버가트 교수 연구실의 마스코트였던 ‘모세(Moses)’라는 애칭의 젊은 암컷 붉은다리거북이 나섰다. 연구팀은 모세가 미로 내에 각각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보지 못하고 연속해서 부딪히기 시작했지요. 이렇게 시작된 사고는 영종대교 전체
길이
의 3분의 1에 이르는 1.3km 구간에서 자동차 106대가 뒤엉켜 충돌하는 엄청난 규모가 되었어요.사고가 커진 이유는 짙은 안개 때문이에요.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수증기가 뭉치면서 생겨요. ... ...
[수학뉴스] 연필과 종이로 만든 센서가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작아졌습니다.종이가 휜 정도는 종이를 구부렸을 때 종이의 양 끝을 잇는 직선거리의
길이
로 나타냅니다. 이 직선거리는 2r×sin(l/2r)라는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l은 구부러진 종이의 곡선
길이
, r은 곡률반지름입니다. 곡률반지름은 곡선의 일부가 호인 원의 반지름을 말합니다. 곡률반지름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자리를 계산했다. 화면의 높이와 화면으로부터 좌석까지의
길이
, 좌석에서 화면을 올려다봤을 때의 각도 등을 고려한 것이다.이때 페르난데스 교수는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이 좌석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약 4피트(약 1.2m) 떨어져 있으며, 좌석은 지면과의 각도가 약 2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없다. 1.5배만 커져도 충분하다. 수도관이나 도로 같은 시설도 마찬가지다. 양은 83%,
길이
는 67%만 보충하면 문제없이 2배 늘어난 시민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시의 몸무게는 인구, 도로면적, 생산량 같은 수치로 알 수 있다.몸무게를 알면 도시의 미래도 점쳐볼 수 있다. 2012년 미국 산타페 연구소의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근처 바다에서 ‘마귀할멈’이라 불리는 마귀상어(Mitsukurinaowstoni)가 잡혔어요. 몸
길이
가 약 1.2m 정도인 걸로 보아, 태어난 지 2~3개월 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요.인도양 심해에서 사는 마귀상어는 약 1억 2500만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기 때문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리고 있어요. 별명이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물건을 사려면 필요한 개수와 내야 할 돈을 계산해야 하고, 친구들과 사이좋게 피자를 나눠 먹으려면 똑같이 나눠야 한다. 실생활 어디에나 수학이 꼭꼭 숨어 있다. 그런데 ... 고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서 썼던
길이
의 단위. 1큐빗은 팔꿈치에서 손 끝까지의
길이
로 약 45.72cm 정도다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