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가짜의 달콤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등 심각한 윤리 문제가 발견됐다. 2010년 마키아리니 박사를 고용한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2016년 그를 해고했고, 스웨덴 경찰은 과실치사 혐의로 조사를 벌였다. 그가 발표한 논문 6편은 지난해 10월 모두 철회됐다. 사랑을 전하는 밸런타인데이에 마키아리니 박사가 다시 등장한 건 2014년 미국 ... ...
- [과학뉴스]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내부에 초이온 물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마리우스 밀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연구소 연구원팀은 초이온 물 얼음의 존재 가능성을 실험으로 처음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기압의 2만5000배가 넘는 초고압에서 물을 압착시킨 얼음에 고출력 레이저 펄스를 쪼여 수천 도의 고온에서 초이온 물 ... ...
- [과학뉴스] 위장술 갑(甲), 갑오징어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팔로마 곤잘레스 벨리도 영국 케임브리지대 신경과학과 교수와 미국 우즈홀해양생물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갑오징어가 시각 신호를 받고 피부의 3차원 질감을 변화시키는 신경 전달 과정을 추적했다. 지금까지 갑오징어의 위장은 시각 신호를 받고 뇌에서 전달한 신호가 피부 근육을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결합하는 연구가 많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소속 위스생체모방공학연구소(Wyss Institute for Biologically InspiredEngineering)의 박성진 연구원, 케빈 킷 파커 교수 등과 함께 쥐의 심장근육세포를 붙인 ‘가오리 로봇’을 만들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6년 7월 8일자에 공개했다. doi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출원했다. 나머지 균주들은 롯데중앙연구소 내 균주은행에 저장됐다. 윤석민 롯데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고려대 김세헌 교수와 공동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쥐를 변비에 걸리게 한 뒤 2주간 요하이 초콜릿을 먹였다. 그러자 분변이 정상에 가까운 형태로 호전됐다. 장내 유익균인 ... ...
- [Culture] 우리 강아지, 유치원에 보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규모의 유전학 연구기관인 잭슨연구소(Roscoe B. Jackson Memorial Laboratory)에서 시작됐습니다. 연구소의 일원이었던 존 스콧 박사와 존 풀러 박사는 비글, 바센지, 코커스파니엘, 셔틀랜드쉽독, 폭스테리어 등 5가지 견종 470마리를 대상으로 강아지의 행동발달을 연구해, 1965년 ‘개의 유전학과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소프트웨어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2009~2013년 프랑스 국립정보자동화연구소(INRIA)연구원, 프랑스 그랑제꼴 브르타뉴텔러콤대 교수로 근무했다. 인터넷표준문서 두 편의 저자이기도 한 그는 2017년 11월 대한민국 인물대상(학술 소프트웨어분야), 2017년 12월 해동신진학술상을 수상했다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에 두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2년째 ‘냐옹이’를 키우고 있는 집사예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는데, 우리 냐옹이는 집안 곳곳에 실례를 해요. 도대체 냐옹이는 왜 이런 걸까요?” [왜?] 오줌을 못 가리는 고양이도 있다?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알고 있는 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구나 태양 같은 천체를 이루는 바리온 물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