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중력장의 요동이 잘 포착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르틴 발레리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교수는 “당시 일본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처음에는 7.9로 발표했다가 3시간 뒤 8.8로 수정했다”며 “만약 중력장의 변화를 관측했다면 수 분안에 9 이상으로 지진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하지만, 바이러스는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이반 코식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NIAID)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쥐와 기니피그, 닭을 감염시킨 뒤 체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의 구조를 각각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신고 자율주행으로 기문을 통과해 내려오는 경기다. 스키로봇챌린지에는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 8개 팀이 참가한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실내스키장에서 로봇 선수들은 맹훈련을 거듭했다. 지난해 12월 4일 부천의 실내스키장을 찾았다. 로봇 선수들의 훈련이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역할을 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습니다. 염민규_mky24@cam.ac.uk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생쥐 유전모델과 오가노이드, 그리고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해 암 발생 과정에서 암 세포와 주변 정상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다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高)자기장국립연구소(NHMFL), 중국과학원 고자기장연구소(CHMFL), 프랑스 그레노블 고자기장연구소 등은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고자기장 연구를 독립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 교수는 “초전도 자석은 산업적 가치가 크다”며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가속기 등은 물론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통해 과학자들은 바다와 빙붕의 관계를 파악하기를 기대하고 있답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과학자들도 빙하의 틈 사이로 내려갈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46m 아래까지 내려가 카메라와 레이저로 빙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빙하 내부 구조를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일리: 그 원리가 대체 뭔데?가리비: 이스라엘 바이즈만 과학연구소의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의 눈을 얼린 후, 잘게 썰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가리비 눈에 렌즈 대신 거울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가리비의 눈 한 개는 나노미터 크기의 사각형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들여다 볼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다.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연구팀은 2800km 깊이의 지구 내부를 형상화 한 3차원 지도를 구축했다. 지진에서 방출되는 탄성파의 속도가 매질의 조성과 밀도, 온도 등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우리 발 밑에 감춰진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구에 치명적인 위기가 닥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FACT A미국국립기상연구소와 스위스취리히공대 연구진은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이행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지구의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2도 이내로 상승 억제하는 ‘2도 목표’ 달성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전혀 없었습니다. 다만 2003년 헨리 콘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박사와 노암 엘키스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이 문제를 특별한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를 찾는 문제로 바꿔놓았습니다. 이들이 말한 함수를 찾기만 하면 케플러 추측의 다른 차원 문제가 풀리는 거지요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