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황 교수는 지적한다.조기 발견과 예방 차원에서만 이용인류가 걸릴 수 있는 수많은
질병
들 중 현재 그 발병에 관련된 유전자가 밝혀져 있고, 그 유전적 원인을 검사하는 방법이 개발된 경우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발병 원인이 단일 유전자로 밝혀져 있어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헌팅턴씨 ... ...
2 언제 어디서나 건강검진하는 바이오센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분자수준의 변화를 의료적 시술 없이 디지털 영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질병
의 진단·예방·치료에 응용하려고 한다. 이 기술이 개발되려면 생체 내 생물학적 정보(BT)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고 증폭시켜는 IT 기술이 결합해야 한다.BIT의 또다른 예로는 시스템 생물학기술이 있다. 이 ... ...
폐암 감지하는 전자코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전자코를 개발, 이 결과를 영국의 ‘뉴사이언티스트’ 5월 10일자에 발표했다.사람은
질병
에 따라 특정 성분이 포함된 숨을 내뱉는데, 폐암 환자의 경우 알칸과 벤젠의 혼합기체를 내뿜는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팀은 전자코의 센서로 금속 포르피린이 코팅된 수정을 이용했다. 금속 포르리핀은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간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생겼을까? 인간은 왜 다른 동물과 다를까?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품어 ... 명확하게 분석하면 인간과 영장류의 진화와 계통, 그리고 이들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
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것이다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수 있다. 현재까지 염기서열이 해독된 침팬지 유전체는 전체의 약 2% 정도로 대부분이
질병
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 배열이다. 침팬지를 포함한 영장류의 유전체 연구는 일본의 ‘실버 프로젝트’(http://sayer.lab.nig.ac.jp/~silver)에 체계적으로 수집돼 있다.결정적 차이는 유전자 발현 정도침팬지와 인간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알아보자.히말라야 사람들은 통짜가슴고산지대 환경에 인체가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병
이 ‘고산병’(altitude sickness)이다. 고산병에 걸리면 머리가 아프고 식욕이 떨어지며 잠이 잘 오지 않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해진다. 보바르 박사는 이런 증상이 3천m 이상 높이의 고지대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 ...
사스 바이러스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목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이 해독돼 ‘사이언스’ 5월 1일자에 공개됐다.미
질병
통제센터(CDC)의 스티븐 오버스트 박사팀은 베트남에서 환자를 치료하던 중 사망한 세계보건기구(WHO)의 의사 카를로 우르바니에게서 분리한 사스 균주의 게놈을 세계 최초로 해독했다고 밝혔다.또한 캐나다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신약 표적으로 설정해 공략할 경우, 박테리아와 기타 병원균에 가장 심각한 타격을 주어
질병
을 치유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좁은세상 이루는 고립된 먹이사슬망생명체의 복잡한 연결망은 그 내부뿐 아니라 개개의 생명체 간에도 존재한다. 먹이사슬이라고 불리는 생태계가 바로 그 예다. ... ...
치매와 에이즈 극복의 지름길 침팬지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는 말라리아와 간염의 치료제 개발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사람의
질병
을 연구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실험대상은사람이다. 하지만 그렇게 할 수는 없다. 대신 침팬지를 이용한 의학실험은 인간과 거의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무한한 가치를 갖으리라 예상된다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침투가 오히려 이에 대항하는 인체의 면역반응을 과도하게 만들어 나타나는
질병
도 있다. B형 간염이나 일본뇌염이 대표적인 경우다. 또 바이러스는 감염된 숙주세포의 성질을 바꾸어(형질전환, transformation) 감염된 세포를 종양세포로 만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은 암의 원인이 되기도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