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졸업하고 9년 동안 의사로 있으면서 노벨 생리의학상을 꿈꾸던 안 사장에게 바이러스는
질병
을 일으키는 병원체였다. 그후 소프트웨어업계로 진로를 바꾼 뒤에도 악연인지 행운인지 바이러스는 늘 그에게서 떠나지 않았다. 그때부터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컴퓨터 의사가 됐기 때문이다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유전자를 건강한 새 유전자로 바꾸거나, 유전자를 추가로 넣어 새로운 기능을 갖게 하고,
질병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새 유전자는 벡터라는, 독성을 없앤 바이러스에 실어 인체에 집어넣는다. 벡터 바이러스는 병의 원인인 목표물을 정확하게 찾아가 손상된 유전자를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원을 받은 미국의 제안은 자녀 출산을 목적으로 한 인간복제뿐만 아니라 의학연구 및
질병
치료용 배아복제까지 모두 금지해야 한다는 엄격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과학계에서는 이제까지 복제문제에 대해 가장 엄격한 입장을 취하던 독일이 인간복제와 치료용 배아복제를 나눠 논의하자고 했다는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일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런 연구 성과는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생기는 암 같은
질병
퇴치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생물학의 또다른 업적으로는 활발해진 게놈 해독이 뽑혔다. 특히 벼의 게놈 해독은 쌀의 영양도와 수확량을 높여 인류의 식량난 해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로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저희가 조사한 유전체 정보에 따르면 바로 이 유전자 때문에 사십대 중반쯤 치명적인
질병
에 걸릴 확률이 보통 사람들보다 조금 높습니다. 저희 병원에 그것과 대체시킬 유전자가 있기는 합니다만….” 이 세상 어느 부모가 그 소리를 듣고도 모른 체 할 수 있단 말인가. 의사 선생님은 거듭 병에 꼭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방향을 유전체학(genomics)에서 프로테오믹스로 바꾼다고 발표했다. 게놈에 대한 연구보다
질병
과 연관된 단백질의 정체를 규명하는 편이 신약 개발 등에서 경제적 이득이 훨씬 많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는 생명공학의 또다른 노다지를 찾아 프로테오믹스 연구에 박차를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했다. 1997년 홍콩에서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출현해 사망자가 속출하자 전세계의
질병
통제기관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조사 결과 이 바이러스는 야생 조류에서 닭에게 옮겨진 뒤, 돌연변이를 일으켜 인간에게 전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일명 ‘조류 독감’으로 불린 이 바이러스는 수천만 ... ...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척추 측만증의 발병 수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척추와 관련된
질병
을 극복하기 위한 왕도는 없다. 청소년 스스로 척추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바른 습관을 갖고 규칙적인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쉽고도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허리를 튼튼하게 하는 운동 고질적인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다. 마법사들은 인간의 몸 속에서 네가지 원소의 균형이 깨지면
질병
이 발생한다고 믿었고, 깨져버린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약초를 사용하거나 피를 뽑는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개발했다. 그런 치료 방법들은 근대 의학으로 발전했다.가상의 세계에 빠져드는 관객들해리 포터의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네트워크)을 발견해 뇌의 신비와 암, 당뇨와 같은 난치성
질병
들의 원인을 알아내고자 하는 매우 도전적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프로테오믹스는 이런 새로운 시대에 생명과학을 이끌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