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수십nm(나노미터. 1nm은 십억 분의 1m)의 미세 플라스틱을 투여한 결과, 배아의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난 겁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자체로도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지만, 다른 독성 물질과 결합해 독성을 증폭시키기도 한다”며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미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육을 자극하면 위성
세포
(satellite cell)가 분열해 근섬유(근육
세포
)에 융합되며
세포
핵을 공급해 근섬유가 굵어지고 운동을 끊으면
세포
핵의 일부가 사라지며 근섬유가 위축된다(왼쪽).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운동을 끊어 근섬유가 위축될 때도
세포
핵은 유지된다. 따라서 위성
세포
가 부실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지지하는 동물(마카크원숭이)실험 결과가 2012년 나왔다. 반면 홍역바이러스에 대한 기억B
세포
는 지나치게 많다(녹색). 지난해 네덜란드의 연구자들은 홍역 환자를 대상으로 이런 메커니즘이 사람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했다. ‘PLOS 병원체’ 제공 물론 위의 경우처럼 종교적인 이유로 백신 접종을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연구결과, 환자 생존율이 획기적으로 늘어나 전세계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3기 비소
세포
폐암 환자 713명이 참여한 임상3상 연구에서 임핀지를 투여한 환자의 사망 위험을 32% 낮춘 것으로 분석됐다. 24개월 생존 기간도 임핀지를 투여한 폐암 환자의 경우 66.3%에 달했다. 당시 학회에서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세포
의 핵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이런 손상 효과는 다른 약독성 물질과 함께 있을 경우 극대화 됐다. 가령 금 이온과 미세플라스틱을 동시에 흡수한 제브라피시 배아의 미토콘드리아는 심하게 ... ...
[과학게시판] 서울대-카오스재단 공개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구 형태를 이루는
세포
집합체다. 이 기술은 스페로이드의 3차원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
조직을 잘라 2차원 슬라이드로 만든 후 현미경으로 확인했던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했다. 이를 통해 스페로이드를 활용한 질환 모델 분석에서 기존 방식 보다 훨씬 빠르고 정밀한 결과를 얻고 질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사람 혀의 실유두는 맨눈으로는 존재도 알기 어려울 정도로 작고 미뢰(맛을 느끼는
세포
의 집합체)가 없어 촉각에만 관여한다. 1982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고양이 실유두는 손톱과 같은 케라틴 성분의 가시로 속이 찬 원뿔 모양이다. 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부 데이비드 후 교수팀은 마이크로-CT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접목했다. 시간대별로 배아의
세포
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발생 과정을 지도로 그리는데 성공했다. 지난 5월 31일 사이언스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던 이 기술이 올해 최고의 연구 성과로 뽑혔다. 사이언스는 지난 11월 28일(현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조합항체를 생산해 독감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바로 퇴치하기 때문이다. AAV가 사람의 면역
세포
를 대신해 더 효과적인 항체를 만드는 셈이다. 물론 이 기술이 사람에 적용될 때까지는 갈 길이 멀다. AAV가 안전하다고는 해도 아직 보편적으로 쓰일 만큼 신뢰를 얻은 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더 튀어나올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새로운 신경
세포
와 보호막을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치는 UBR4와 PHLPP1 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UBR4나 PHLPP1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면 우리 뇌 발달에 치명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