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떨 때(shivering) 나오는 숙신산이나 음료로 섭취한(ingestion) 숙신산이 혈관을 타고 갈색지방
세포
안으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에서 푸마르산으로 산화될 때 나오는 활성산소가 UCP1을 활성화시켜 열생성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에서도 이 결과가 재현될지 궁금하다. - 네이처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몸이 점차 복잡해지면서 뉴런 다발이 한 곳에 집중된 뇌가 생겨났듯이, 원시 해양 동물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가 주위 환경의 작은 분자를 감지하는 특화된 역할을 하는 조직(후각상피)에 모이면서 뇌가 그 신호를 ‘냄새’라는 새로운 개념의 패턴으로 인식하게 진화한 게 아닐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코알라가 들어오는데, 이 가운데 40%는 클라미디아 감염 말기로 치료될 가망성이 없다.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박테리아인 클라미디아는 각결막염이나 요도나 생식기 염증을 일으킨다. 코알라의 경우 감염됐을 때 염증유발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해 자신의 조직까지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
세포
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호모 사피엔스까지는 별 차이가 없었다. 정상
세포
에 비해 단
세포
성이 커진 게 암
세포
라는 걸 증명하는 실험 데이터다. 사람 유전자를 진화 역사에 따라 16단계로 분류한 뒤 각각의 유전자 발현패턴을 비교해보면 암
세포
에서 단
세포
유전자(1~3단계)는 발현량이 는 반면 다
세포
유전자는 줄거나(4~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경우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글루텐이 틈 사이로 투과해 자가면역반응을 일으켜 소장벽
세포
를 파괴한다. 그 결과 영양결핍과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게 셀리악병이다. 많은 경우 글루텐이 없는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사라진다. - ‘네이처 리뷰 면역학’ 제공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밀가루 음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염색체가 쌍으로 들어있는 2배체(2n) 식물로는 게놈을 재구성하기가 어렵다고 보고 성
세포
(n)를 배양한 뒤 DNA를 추출해 게놈을 해독하는 전략을 썼다. 장미(월계화 올드 블러시)의 게놈 크기는 5억6000만 염기로 30억 염기인 사람 게놈보다 훨씬 작지만 유전자 수는 3만6000여 개로 추정돼 두 배 가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참고로 알레르기 같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가려움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는 메르켈
세포
수 감소로 인한 물리적 자극에 대한 과도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앞으로 지하철 같은 공공장소에서 어르신들이 몸 여기저기를 긁거나 바지를 무릎 위로 올리는 모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결과를 얻었다. 2014년 일본에서 독감치료제로 허가가 난 파비피라비르(아래 분자)는
세포
에 들어가면 인체 효소의 작용으로 활성형(T-705RTP)으로 바뀌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게놈의 복제(replication)를 교란해 증식을 차단한다. 파비피라비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뿐 아니라 그림의 에볼라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칼륨이온이 들어와 자리를 채워야 문이 닫힌다. 그리고 반대쪽 문이 열리고 칼륨이온이
세포
질로 나간다. 이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이다. 수소이온이 위 내강으로 나간 뒤 칼륨이온이 들어갈 자리를 약물이 먼저 차지해 문이 열린 채 있으면 위의 사이클이 중단된다. 즉 이 양성자 펌프는 작동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만들어내도 성장이 정지된 휴면 상태가 유지된다. 식물이 저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
사이 구멍이 다시 열리면서 휴면 상태가 풀리고 성장이 재개된다. 봄이 오면 휴면 상태가 풀리고 낮의 길이도 길어지면서 식물이 쑥쑥 자라나는 환경이 되는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지 4월 1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