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리듬을 분석했다.
세포
내 칼슘 농도는 뉴런의 활동성을 반영하는 지표다. 시상하부의
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의 주기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왼쪽은 하부실방구간(SPZ)과 실방핵(PVN) 영역으로 30분에서 4시간 주기의 울트라디언 리듬이 강하게 나타난다. 위는 8일 동안의 데이터이고 아래는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환자의 뇌 슬라이드를 보여준 스틸은 “이것들 알츠하이머병에서 볼 수 있는 신경
세포
엉킴과 아주 비슷하다”며 “어쩌면 이 엉킴에 신경계퇴행에 관한 중대한 단서가 들어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 20여 년이 지나서야 BMAA가 포함된 변이 단백질 신경섬유가 이런 엉킴을 일으킨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방해해 과잉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자가면역반응 환자의 T
세포
는 Kv1.3 통로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리브해에 사는 융단열말미잘은 바닷가재 같은 천적을 내쫓기 위해 독액을 분비하는데, 그 성분인 아미노산 35개로 이뤄진 펩티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더 많은 지방
세포
를 만들어 평생 유지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여분의 지방
세포
들이 대개 간, 신장, 장 같은 기관들 주변에 붙어 있어” 내장지방이 쉽게 쌓인다고 덧붙였다. 리버먼 교수는 미국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들이 이미 잘못된 길을 걷고 있기 때문에 “미국인의 다음 세대는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환경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신경
세포
(뉴런)에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이 과다 생성되고 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타우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이 생긴다’는 병리학적 원인만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발병 원인을 특정하는 것은 사실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떨 때(shivering) 나오는 숙신산이나 음료로 섭취한(ingestion) 숙신산이 혈관을 타고 갈색지방
세포
안으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에서 푸마르산으로 산화될 때 나오는 활성산소가 UCP1을 활성화시켜 열생성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에서도 이 결과가 재현될지 궁금하다. - 네이처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몸이 점차 복잡해지면서 뉴런 다발이 한 곳에 집중된 뇌가 생겨났듯이, 원시 해양 동물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가 주위 환경의 작은 분자를 감지하는 특화된 역할을 하는 조직(후각상피)에 모이면서 뇌가 그 신호를 ‘냄새’라는 새로운 개념의 패턴으로 인식하게 진화한 게 아닐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코알라가 들어오는데, 이 가운데 40%는 클라미디아 감염 말기로 치료될 가망성이 없다.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박테리아인 클라미디아는 각결막염이나 요도나 생식기 염증을 일으킨다. 코알라의 경우 감염됐을 때 염증유발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해 자신의 조직까지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
세포
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호모 사피엔스까지는 별 차이가 없었다. 정상
세포
에 비해 단
세포
성이 커진 게 암
세포
라는 걸 증명하는 실험 데이터다. 사람 유전자를 진화 역사에 따라 16단계로 분류한 뒤 각각의 유전자 발현패턴을 비교해보면 암
세포
에서 단
세포
유전자(1~3단계)는 발현량이 는 반면 다
세포
유전자는 줄거나(4~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경우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글루텐이 틈 사이로 투과해 자가면역반응을 일으켜 소장벽
세포
를 파괴한다. 그 결과 영양결핍과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게 셀리악병이다. 많은 경우 글루텐이 없는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사라진다. - ‘네이처 리뷰 면역학’ 제공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밀가루 음식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