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인식해 이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도로 SN-38로 만든다. SN-38은
세포
분열이 왕성한 장의 상피
세포
를 공격해 죽게 하고 그 결과 심각한 설사와 같은 항암제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처럼 이리노테칸에 대한 인체 생체이물 대사 시스템과 장내미생물 시스템이 엇박자를 내기 때문에 적절한 투여량을 ... ...
2m 길이 DNA가 4㎛
세포
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관찰했다. 유사분열은 유전체 양의 변화가 없는
세포
분열로 생식
세포
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
의 분열을 의미한다. 146염기쌍의 DNA가 8개의 히스톤 단백질을 두 바퀴 감아 직경 11㎚의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전하를 띤 아미노산과 음전하를 띤 DNA의 상호작용 끝에 단단하게 결합해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뉴런 표면에 존재했다. 그런데 지난해 찾은 IR40a는 습도가 낮을 때 활성화되는
세포
뿐 아니라 서늘할 때 활성화되는 뉴런에도 존재한다. 즉 IR40a는 습도수용체일뿐 아니라 온도수용체이기도 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들 습도수용체는 어떻게 습도를 인식해 활성화될까. 습도란 공기 중의 수증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운동을 많이 하면 몸의 면역계가 쉬면서 염증반응이 줄어든다. 염증반응 과정에서 관련
세포
와 물질을 만들고 열을 내는 등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또 호르몬 분비가 재조정돼 생식력이 떨어지고 손상된 신체조직을 복구하는 속도도 떨어진다. 즉 기초대사량이 줄어든다는 말이다. 한편 ...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연구를 소개했다. 바이어스 라하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팀은 사람의 망막 신경
세포
의 재생을 도와 장님 등 시신경이 다친 환자의 시력 회복을 돕기 위한 연구들을 소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제 2의 메르스 ‘라싸 바이러스’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4
결합시켜 가며 확인한 결과, 항체의 90%가 GP1과 GP2 사이의 결합을 방해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는 기작도 확인했다. 헤스티 연구원은 “라싸 바이러스는 백신 개발 우선순위가 높은 바이러스 중 하나로, 전 세계가 10년 넘게 개발을 위해 노력 중”이라며 “향후 결합 부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레드우드국립공원에 있는 키가 100미터가 넘는 아메리카삼나무를 떠올려 보라. 목질화한
세포
로 이뤄진 나무는 같은 무게일 경우 강철이나 콘크리트보다도 강도가 세다. 물론 같은 부피일 경우는 밀도가 낮아 그렇지 못하다. 그럼에도 목재는 시간의 경과나 습도에 따라 휘어지고 갈라지는 문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성공을 거뒀다. 전기쇼크로 자극된 미주신경의 신호가 비장으로 전달돼 면역
세포
(대식
세포
)의 활동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했다. - 네이처 제공 ● 기능의학적 접근도 활발 아무튼 아직까지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는 상태에서 생활습관을 개선해 증상을 완화하고 더 나아가 치유에 이르고자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
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없다고 가정한 채로 단백질 구조를 분석해야했습니다. 토요시마 연구팀의 연구로
세포
막 단백질의 구조 분석에 대해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관련 칼럼 및 논문 Kathleen J. Sweadner(2017), Structural biology: An ion-transport enzyme that rocks, Nature, 545, 162–164. ☞ doi:10.1038/nature22492Yoshiyuki Norimatsu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넘는 기간 동안 끈질기게 매달린 결과다.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싱가포르 분자
세포
생물학연구소의 시드니 브레너 박사는 ‘사이언스’에 기고한 부고에서 “생어 같은 과학자는 (보고서와 논문을 끊임없이 써야하는) 오늘날 과학계 풍토에서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과학자들이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