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포"(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연결과정에서 생명체(효모)의 힘을 빌리기는 했다) 게놈을 빼낸 다른 종의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기생 박테리아로 살리는 시도가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 ...
- 플라나리아 무한 재생의 비밀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03
- 그린 ‘인상, 해돋이’의 한 구석을 확대한 듯한 그림이지만 사실은 플라나리아의 근육 세포다. 편형동물의 하나인 플라나리아의 신체가 재생되는 과정을 밝힌 피터 레디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교수팀의 연구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플라나리아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교세포가 많았다는 얘기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의 뇌의 네트워크 패턴이 다르다는 이번 연구결과를 보며 똑똑함은 타고난 것 보다는 평소 꾸준히 머리를 쓴 결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 ...
-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이러스 면역 반응동아사이언스 l2017.11.27
- 맞는 항체를 만들어 바이러스가 있는 곳에 항체를 보낸다. 이 때 바이러스의 구조를 면역 세포에 알리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그 과정 중에 PLC가 있다. PLC는 바이러스에서 만들어진 펩타이드(아미노산 두 개 이상이 펩티드 결합을 한 물질)를 MHC-Ⅰ(major histocompatibility compex class I)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숙주로 여겨 영양분만 빨아먹고 자기 증식에만 열중하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된 변이 세포가 모인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북한 병사 기생충 보도에 구충제 판매량이 두 배 늘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구충제를 복용한 게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인 필자도 이참에 한 번 ...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동아사이언스 l2017.11.19
- 암이나 이식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 조작을 통한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를 실증했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 하지만 루카 교수는 “EB는 여러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이번 치료는 그 중 LAMB3 유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라며 “향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검출됐다는 연구, 액상형 전자담배의 연기를 폐 세포에 쐬였을 때 연초 담배보다 더 많은 세포가 죽었다는 연구 등이 보고됐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궐련형 전자 담배의 주류연과 부류연에 대해서도 다방면의 유해성 연구가 진행돼 야 할 것입니다. 담배의 유해성은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말이다. 반면 우리가 느끼는 색의 심리적 효과는 영장류가 3색형 색각(trichromacy), 즉 원추세포의 포톱신(photopsin)이 세 가지(각각 파랑, 녹색, 빨강 파장에 가장 민감)로 나뉜 이후에 진화했을 것이다. 문득 불교에서 명상 상태를 가리킬 때 쓰는 ‘성성적적’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성성적적(惺惺寂寂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일으킨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그 뒤 네트워크를 동원해 세계 각국의 간암 환자 1400명의 암세포 전체 엑솜 데이터를 입수해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 간암 환자의 47%가 AA와 관련이 있게 나왔고 화교들이 많이 사는 동남아시아도 29%나 됐다. 그 다음이 우리나라로 13%(231명 가운데 29명)였고 일본은 2.7%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종종 생기는데, 이 경우 자기 체세포를 역분화시킨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분화시킨 적혈구로 만든 인공혈액을 쓸 수 있다. 참고로 2011년 iPSC를 적혈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적혈구가 없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산소운반체로 쓰는 혈액대체제가 여럿 개발됐다. 200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