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포"(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맞춘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진핵세포에 그대로 사용하긴 어렵다”면서도 “적어도 진핵세포 유전체 합성의 시발점이 된 것으로 향후 ‘인간 유전체합성 프로젝트’ 등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가 2010년 합성한 최초의 인공생명체 ‘JCVI-syn1.0’(왼쪽).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균주를 새롭게 발굴하여, 균 자체가 만들어 내는 대사산물뿐만 아니라, 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특정 구조의 당(탄수화물)도 여러 질병 치료에 관여함을 밝혀내고 있다. 그는 "이러한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가 더이상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닌, '미생물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개념을 새롭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일이라는 것이다. 뇌세포를 다 합쳐봐야 100만 개도 채 되지 않는 곤충이지만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얼굴 인식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결국 진화계통수로 인지능력을 판단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미국 중서부에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개발해 임상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BACE1이 베타-아밀로이드를 만들 수 없게 만들어 뇌세포 손상을 막겠다는 계획이었지만 특별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했지요. 이에 자료모니터링위원회에서 “임상적으로 긍정적 소견을 도출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며 3차 임상시험을 중단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175)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천재 튜링이 만일 살아있어 이 실험결과를 지켜본다면 ‘세포 튜링 테스트’라는 용어를 쓰는데 동의할지 문득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1
- 넣어준 VP1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고, 실제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숙주 세포에 달라붙는 걸 막아낼 수 있습니다. Q. 구제역 백신으로 무조건 구제역을 예방할 수 있는 게 아닌가요? 구제역 확진이 나온 한우 농장의 항체 형성률은 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장주가 소유하고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같은 신축성을 지원한다. 이영희 단장은 "앞으로 터널링 메모리를 시냅스로 사용해 뇌세포의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후속 연구가 완성되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지털기기에서 알파고와 같은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소비와 발열은 ...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약 18%가 노로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포유류 동물의 소장 세포 속으로 들어가 그 안에서 자손을 불립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유전정보는 RNA를 통해 전달하며, 유전자 변이가 쉽게 일어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노로 바이러스’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타고 뇌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후각상피세포는 냄새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가 있는 세포로 점막이 덮여있다. 지난해 9월 영국 랭커스터대 연구자들은 사람의 뇌에서 자철석 나노입자를 발견했다고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멕시코시티와 랭커스터에 살았던 사람 37명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2017.01.17
- 전후해 난자로 성숙할 난포가 남아나지 않게 된다. 즉 폐경이 오는 것이다. 이런 생식세포의 노화가속화는 폐경이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어떤 이유로 생겨난 현상임을 시사한다. ‘20세기의 다윈’으로 불린 저명한 진화론자 조지 윌리엄스는 서른한 살이던 1957년 노화의 자연선택이론을 발표한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