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포"(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그는 "암뿐 아니라 줄기세포 연구에도 초고심도 이미징이 필요하다"며 "척수에서 줄기세포가 어떻게 생겨나고 없어지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신경과학과 뇌과학에도 초고심도 이미징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워싱턴대, 하워드휴즈연구소의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암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밝혀내고 살아 있는 동물의 세포를 정교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한다면, 머지않아 시각장애, 정신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척수로 전하는 축색의 세포체들이 모여 있는 부위인 배근신경절에서 얻은 뉴런(신경세포)을 여러 온도에 노출시켜 활성을 관찰했다. 그 결과 뉴런의 10% 정도가 34~42도 범위에서 반응하면서도 기존의 열센서는 갖고 있지 않았다. 즉 다른 열센서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이들 뉴런의 유전자 ...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동아사이언스 l2016.08.21
- 생긴 경우보다 건강에 더 안 좋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염증은 상처부위를 청소하고 신경세포를 수리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첫 번째 논문 저자인 조나단 킵니스 미국 버지니아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면역계 연구가 뇌신경질환 치료의 최전선에 놓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IBS l2016.08.03
- 함께 진행, 부부의 이름을 논문에 함께 올려 더욱 뜻깊다. 그쥐보프스카 연구위원은 세포 생물학자로 이번 나노입자를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에 참여해 큰 역할을 했다. "과학자가 된다는 것은 언제나 배운다는 것" 최근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는 구글이 개최하는 '사이언스 푸 캠프(Science Foo ...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2016.08.01
- 쌓이면서 근육이 피로를 느낀다는 가설이 있다. 그런데 케톤음료를 마실 경우 근육세포의 에너지원이 다양해지면서 젖산이 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에 따르면 케톤음료는 1년 내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될 경우 머지않아 케톤음로도 카페인음료처럼 운동선수들이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연구 분야가 세분화되면서 이를 표현하는 데 애를 먹는 경우가 늘고 있다. 예컨대 신경세포 간에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장면을 묘사하는 건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표지시장은 ‘블루오션’으로 통한다. 국내에 이 대표나 윤 대표의 경쟁자는 거의 없다. 이들은 오히려 이 분야에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동아사이언스 l2016.07.31
- Science 제공 사이언스 표지는 균류(곰팡이와 효소, 버섯 등)와 조류(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생물)가 합쳐진 ‘지의류’ 사진이 장식했다. 오스트리아 연구진이 발견한 발견한 지의류 중 하나인 ‘하이포짐니아 임샤우지(Hypogymnia imshaugii)’가 실렸다. 두 미생물이 상부상조하는 공생생물인 ... ...
- 자외선, 머리부터 발끝까지 차단이 필요해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선글라스가 필수다. 눈은 연한 점막질로 이뤄져 있어 자외선에 쉽게 손상을 입는다. 세포를 변성시키고 눈의 노화를 앞당기며 안구 건조와 안구충혈, 각막염, 백내장 등 안구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선글라스를 고를 때는 자외선이 100% 차단되는 제품으로 고르는 것이 좋다. 렌즈의 자외선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처음 발견했다. 그의 저서 ‘감염질환의 면역’에 실린 그림으로 기니피그의 대식세포 안에 대장균(빨간색)이 들어 있다. - 감염질환의 면역 제공 ● 노인학의 창시자 한편 면역논쟁이 가라앉을 무렵 면역연구에 대한 메치니코프의 관심도 점차 사그라졌다. 계기는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시작됐다. 1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