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신"(으)로 총 2,0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色수다] (ep5) 성에 대한 이중 잣대2016.12.25
- 일종의 상품으로 보고 남성을 구매자의 입장, 여성을 공급자의 입장으로 놓고 여성들이 자신들의 시장 가치(?)를 높게 유지하려 노력하다보니 스스로 공급을 통제하려 서로의 성적 자유도를 억압한단 주장이다. 그리고 최근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에 실린 한 연구에의하면 현재로서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 1995년 페인은 마침내 불가사리를 더 이상 잡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이 영원히 살 것도 아니기 때문에 불가사리가 돌아왔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예상대로 불가사리가 돌아오자 해안을 뒤덮은 홍합이 급속히 줄어들며 얼마 지나지 않아 예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자신의 삶을 통일된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는 사람이 훌륭한 인간”이라며 “교육은 자신의 삶에 대한 서사적 통일성을 기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브루너는 개인의 성격 자체가 아니라 성격과 주변 환경의 궁합 여부가 그 사람의 행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 ...
- "내가 이러려고 돈 벌었나? 자괴감 들지 않으려면..."2016.12.21
- 소득이 5,000만원, 소득공제를 500만 원 받아 4,500만 원이 되면 15%의 세율이 적용된다. 자신이 해당하는 소득공제 항목을 잘 증빙하면 과세표준을 적게 할 수 있다. 현재 종합소득세율은 6단계 누진세율(2016년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세율은 ▲1,200만 원 이하, 6% ▲4,600만 원 이하, 15% ▲8,800만 원 ... ...
- 장년 외벌이 부부를 위한 재테크 포인트2016.12.21
- 노하우를 가지게 된다. 자기만의 투자 패턴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자신의 투자에 만족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결과보다 욕심이 항상 한발 앞서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방에 끝내버릴 요량으로 여유자금을 몽땅 털어 잘나간다는 소문의 주식에 ‘올인’하기도 한다. 하지만 ... ...
- 올해도 내년에도 목표는 금연2016.12.21
- 있는 상황이 오면 담배를 찾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자신이 담배를 찾을 때가 언제인지를 잘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후 ‘그때’가 오면 또 이럴 때 내가 담배를 찾는구나, 인지하고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흡연량을 줄일 수 있다. 금연 클리닉, 약물 등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사례를 들어 설명을 이어갔다. 히로시 마츠모토(Hiroshi Matsumoto) RIKEN 이사장은 "연구자들은 자신만의 비전을 반드시 가져야 하고, 학제 간 장벽 또한 허물어야 한다. 서로 함께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이 모여서 어떤 방향으로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하는지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고,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돌아가 몇 시간 동안 검증을 해본 후, 이 단장에게 찾아와 '너의 물리적 해석이 맞다'며 자신의 논문에 그 내용을 상세히 사용하여도 좋을지 물어보았다. 이 단장의 대답은 "당연히 가능하다"였다. 2주후 열린 국제 끈이론 학회에서 위튼 교수는 이 단장의 직관적 해석을 '레이 효과(Rey effect, 레이(Rey)는 ...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2016.12.20
- 중요한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결국 자신의 감정에 귀를 기울이고 지금 자신이 느끼는 것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아는 것, 즉 내면의 소리를 좀 더 잘 이해하려 애쓰는 것, 그리고 다양한 감정을 무시하지 말고 또 편식하지 않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골고루 느끼는 것이 우리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받았다. 그 뒤 그는 자신의 삶과 연구를 뒤돌아보는 교양과학서를 집필했지만 아쉽게도 출간을 보지 못하고 지난 5월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작이 된 ‘Messages from Islands’는 지난주 출간됐다. ※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