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그림들을 다시 한번 보세요. 이제껏 설명한 원근법의 원리가 조금은 보이지 않나요? 여러
분
도 오늘 배운 그림 그리기로 기본기를 닦아 본인만의 멋진 그림을 그려 보세요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매일 다니던 길과 매일 보던 하늘도 더 유심히 보는 습관이 생겼어요!” 2018년 12월 열린 지구사랑탐사대 6기 수료식. 길게는 몇 해째 활동한 쟁쟁한 팀들 사이 ... 활동은 큰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해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여러
분
도 힘내서 꼭 도전해 보세요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름을 단시간에 되찾아 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석주명은 나비 연구 외에도 다양한
분
야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세계 공용어로 개발돼 한창 연구 중이던 에스페란토에 큰 관심을 보였다. 에스페란토 교과서를 저술하며 국내에 보급하고자 노력했고, 학회를 통해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때 주변 입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빠르게 가속되다가 서로 충돌해 원자핵이
분
열되며 방사성 물질로 바뀐다. 이를 견디기 위해 주노를 만들 때 강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티타늄을 썼다.스티브 레빈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주노 프로젝트 연구원은 “주노는 완전히 새로운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전자기 결합이 바뀌어 적외선 투과성이 변한다. 평소 2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
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다가 온도나 습도가 올라가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10μm 이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뀌는 것이다. 10μm 파장의 적외선은 우리 몸이 열을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별빛이 내린다, 샤랴랄라라랄라~’2025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유성우 예보도 없는데 화려한 도시 조명을 뚫고 밤하늘에서 무지개 색깔의 별똥별들이 쏟아진다. 상상 속 ... “인공 유성우를 만드는 인공위성도 계획에 따라 대기권으로 진입시켜 안전하게 처
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쓰던 곳이느냐에 따라 조금씩
분
위기가 달랐다. 라마 6세의 여름 별궁은 정갈하고 차
분
한 정원에 유럽풍 건물이 주를 이루며 낮고 길게 뻗은 것이 특징이라면 중국에서 입양된 라마 4세가 살던 왕궁은 내부 장식이나 물건에 중국 문화가 많이 드러나며 좁고 뾰족하게 건물을 세운 것이 특징이었다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앞으로 보안
분
야의 전망은 어떤가요?지금은 데이터가 돈이 되는 시대예요. 데이터
분
석을 토대로 새로운 사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죠. 또 IoT나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처럼 앞으로는 모든 것들이 통신으로 연결될 거예요. 게다가 최근 해커들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격을 시도하고 있죠.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에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평범한 소재이지만, 나노미터(nm, 10억
분
의 1m) 수준에서 반복되는 구조를 디자인해서 새로운 특성을 얻지요.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에 빛을 입사각이 45°가 되도록 쏘아주면 빛이 들어온 방향으로 다시 반사돼요. 하지만 반대쪽 45°에서 쏘면 빛이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외면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동안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식민지 시절의 억압과 남북
분
단이 초래한 상처는 여전히 우리 과학사에 짙게 드리워져 있다. 대한민국의 과학은 그 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과학조선을 꿈꿨던 그때와 맞닿아 있다. 해방 이후 해외에서 어렵게 과학을 익힌 사람들이 한국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