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극단 생태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두 갈래로 갈라진 혀로 핥는다.이 녀석들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몸을 회전하는 것처럼
옆
으로 움직이는 ‘사이드와인딩’이라는 특이한 이동형태로 유명한데 모래언덕의 경사지를 매우 빨리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먼저 머리와 꼬리 양쪽을 모래에 단단히 고정시킨 뒤 몸 중간 부분을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김 박사는 그 예로 컵을 잡는 방식을 설명했다. 컵이 놓인 주변 환경에 따라 사람은
옆
에서 손잡이를 잡기도 하고 위에서 들어 올릴 수도 있듯이 로봇도 궁극적으로는 그래야 한다는 것. 현재 인지로봇연구단이 네크워크에 기반한 로봇 연구에 집중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상황에 맞는 다양한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후버 신 정권의 경제와 군사 정책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들을 퍼부었다.
옆
에 앉아 있는 차기 대통령의 코멘트를 끌어내기 위함이었다. 이것으로 인해 에디슨과 후버 모두 화가 나 있었고 에디슨은 대부분의 질문을 무시했다.에디슨의 불편한 심기를 눈치 챈 한 기자가 “지금까지 한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kg당 섭취량을 mg으로 표시한 값이다.빵, 과자 먹음직스럽게 하는 유화제·팽창제베이커리
옆
을 지나가다 보면 문틈으로 흘러나오는 향기로운 빵 냄새에 자신도 모르게 문을 열게 된다. 식빵을 비롯해 앙금빵, 패스트리, 카스텔라, 케이크 등 종류도 가지가지다. ‘각종 첨가물이 들어가고 가공도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 유재은·덕성여중촉수가 많이 달린 바닷속 말미잘을 닮았다. 잠자리의 가슴
옆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살피던 중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서 발견해 찍은 사진. 배율 300배.딸기바이오공학상·고등부 | 조수영·강원과학고금방이라도 한입 물면 상큼한 맛이 날 것 같은 딸기는 사람 피부에 있는 ... ...
“유후~ 내 사랑!” 자외선으로 유혹하는 깡충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실험 과정을 좀 소개해 주시죠. 연구팀은 20마리의 수컷 깡충거미를 유리 상자에 놓고, 그
옆
에는 깡충거미 암컷이 든 상자를 놓았어요. 그리고는 수컷 거미들에게 UVB를 쬐어 주거나 차단하면서 암컷 거미들의 반응을 살폈지요. 실험 결과 수컷 거미들에게 UVB를 쬐었을 때 암컷 거미들이 구애행동에 ... ...
매혹적인 미인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여인은 옷차림으로 보건대 군관의 부인쯤 된다.그런데 신윤복은 이 여인의 발을 양
옆
으로 쫙 벌려 담에 평행하게 붙여 긴장감 있게 그려낸다. 게다가 ‘월야밀회’에는 시선이 두 개다. 하나는 그림 오른쪽 위에서 몰래 훔쳐보는 여인의 시선이고 나머지 하나는 그림 오른쪽 아래 담 안에서 화가가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우리는 지금쯤 물체를 순간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내가 지금 눈 깜짝할 사이에 당신
옆
자리로 갈 수도 있다(웃음). 하지만 아직 그건 불가능하다. ‘상태’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광자는 얼마나 멀리 떨어뜨릴 수 있나?거리의 한계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2003년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스톡홀름 중앙역을 오가는 승객들 몸에서 나는 열을 모아 2010년 완공될 중앙역
옆
13층 건물 난방에 사용할 계획이다.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중앙역의 환기장치에 모아 뜨거운 물로 전환하는 열전환 시스템에서 4만m2 건물의 난방에 필요한 열의 15%를 충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인구가 증가하고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난 10여 년 동안 축적되면서 많은 사실이 알려졌다. 무엇보다도 음악을 들을 때 귀
옆
에 있는 측두엽의 청각피질 뿐 아니라 뇌 전반에 거쳐 활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음악의 매력이 뇌 전체를 사로잡고 있는 셈이다.음악의 정서적 효과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실마리를 준 첫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