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차가운 대기와 만나 갑자기 얼어붙었을 것”이라며 “이 얼음이 구멍을 막으면 그
옆
으로 수증기가 다시 분출하는 과정을 반복해 긴 협곡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 ...
PART1 지금 베이징은 과학전쟁 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었다는 사실도 중국이 자랑하는 과학기술의 성과다.주경기장
옆
에 들어선 ‘수이리팡(水立方, 물 입방체)’이라는 국가수영센터는 세계에서 가장 큰 수영장이다. 이렇게 큰 건물을 기둥 없이 자연 채광이 되도록 건설하기 위해 최첨단 기술을 적용했다는 게 수영장 관계자의 ... ...
'탄소 제로 도시'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공개했다. 이 주택은 4인 가족이 사용할 수 있는 단층 건물로 지붕의 태양전지판과 건물
옆
소형 풍력발전기가 15kW의 전력을 생산한다. 이 정도면 일본 주택이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전력의 5배에 이른다. 주택 안에도 물을 전혀 쓰지 않는 세탁기와 전력 소모량이 일반 에어컨의 절반인 지능센서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개발한 *리스트 롤링 같은 훈련을 해 팔 근력을 강화시키는 데 성공했고, 실제 선수들의
옆
굴리기 성공률이 높아졌다.레슬링 하면 훈련량이 많기로 소문난 종목이다. 이틀에 걸쳐 진행되던 올림픽 레슬링 경기가 하루에 끝나도록 바뀌어 선수의 체력 수준, 경기 당일 체력 관리, 경기 후 피로 회복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테두리를 따라서 물방울이 닿은 방향으로 표면장력을 받는다. 수평면에 놓인 물방울은
옆
에서 보면 아래쪽이 잘린 구와 같은 모양인데, 표면과 접촉하는 테두리를 따른 표면장력의 수평 성분이 모두 상쇄돼 물방울이 어느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는다. 만일 유리창같이 수직면에 맺힌 빗방울 모양도 ... ...
에이~, 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 냐냥!(닥터고글~, 가져왔어!)”어느새 냥냥이가 화분 두 개를 물고 닥터고글의
옆
에 서 있다.“냥냥! 고마워! 두 분을 위해 특별히 두 종류의 식물을 준비했어요. 한번 만져 보시겠어요?”사뿐히 양은 손가락 끝으로 조심스레 식물의 잎을 건드려 본다. 어엇! 그런데 이게 웬일? 한 식물은 갑자기 시든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속도가 줄어든다.지브세일은 바람이 뒷면
옆
에서 들어오게 방향을 맞춘다. 돛의 뒷면
옆
으로 들어온 바람은 돛을 앞쪽으로 부풀게 한다. 완만하게 돛이 휘면 돛의 앞뒤를 지나는 공기의 압력이 달라진다. 볼록한 앞쪽은 바람이 지나는 속도가 빨라 기압이 감소하고 반대로 뒤쪽은 높아진다. 따라서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꽃을 피우는 불꽃나무가 생겼다. 그러자 바오밥나무는 이 꽃들도 부러워졌다. 또
옆
에 있는 풍만한 무화과나무를 보자 자기에게도 열매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 바오밥나무의 이러한 시기심에 화가 난 신은 나무를 뿌리째 뽑아서는 더 이상 말을 하지 못하도록 거꾸로 심어 버렸다. 그래서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앵무새는 호도 같은 견과류도 깨뜨려 먹을 수 있다. 철사를 끊거나 구부리는 공구인 펜치
옆
모습이 앵무새 얼굴을 닮은 게 우연은 아니다. ‘주걱’ 부리 저어새 비웃지마라!공구도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듯이 부리도 먹이 종류에 따라 극단적인 형태를 띠기도 한다. 윗부리와 아래부리가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이름을 붙여 줬다. 그런데 도도를 다시 보니 그곳에서도 하얀색 물질이 보였다. 그래서
옆
부분을 한 번 더 퍼 올렸다. ‘골디락’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그곳에서도 하얀색 물질이 보였다.물질이 얼음인지 궁금해 퍼 올린 흙을 분석기에 담기 전에 자세히 살펴봤다. 지구의 흙과 겉모습은 크게 다르지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