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뉴스
"
지상
"(으)로 총 1,701건 검색되었습니다.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이 지구로 돌진?
과학동아
l
2014.07.08
면적 만한 크기에 약 1년에 1개 꼴로 떨어진다. 이런 위력적인 우주선이 날아오는 데도
지상
에 피해가 생기지 않는 까닭은 우주선이 지구 대기권과 충돌하면서 대부분 가벼운 입자로 바뀌어 위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드문드문 날아오는 우주선을 검출하기 위해 연구팀은 미국 유타사막에서 ... ...
쌍성 도는 행성 '중력렌즈'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04
어두운 천체를 찾을 수 있다는 점 외에도 다양한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우주망원경 없이
지상
의 천문대에서도 외계행성 관측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천체의 질량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는 외계행성이 공전 중인 항성 앞을 지나며 빛을 가릴 때 얼마나 어두워지는지를 ... ...
260억 들여 '우주여행' 한번 하고 끝
과학동아
l
2014.06.26
2008년 이후 항우연에서는 ‘한국형 유인우주프로그램 개발’ ‘미세중력 활용 우주실험
지상
연구’ 등 관련 프로젝트들을 진행했지만 2012년을 끝으로 거의 종료했다. 현재 진행되는 유일한 후속 연구는 ‘미세중력 활용 유인우주기반기술 연구’. 일본이 ISS에 설치한 우주실험실을 활용해 ... ...
'아이언맨'슈트 입고 외계인과 싸워라
과학동아
l
2014.06.22
증상을 말한다. 온몸 전체를 알루미늄 합금으로 덮는 이 엑소수트를 입으면 내부 기압을
지상
과 같은 1기압으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잠수병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밖에도 엑소스켈레톤 수트는 신체 거동이 불편해진 노인을 보조하는 용도로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 문제는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김치도 우주용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유산균을 모두 제거해 영양학적 측면에서는
지상
의 김치보다 떨어진다. 송 연구원은 “단 한 마리의 유산균만 있어도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 때문에 포장한 캔이 폭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60초 만에 뜨거운 에스프레소를 ... ...
국산 위성, 유럽 수출門 열다
과학동아
l
2014.06.16
민간 회사 ‘데이모스 카스티야 라만차’가 발주한 초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이다.
지상
의 물체를 70cm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어 상용 위성영상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원래 해상도는 1m지만 정보기술(IT)에 기반한 영상처리 시스템을 접목해 해상도를 끌어올렸다. 이 시스템은 2012년 ‘대한민국 10대 ... ...
공룡은 항온동물일까, 변온동물일까
과학동아
l
2014.06.13
가능성이 크다. 공룡 전문가인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현재
지상
에서 몸집이 가장 큰 포유류인 코끼리는 몸의 열을 식히기 위해 끊임없이 커다란 귀를 펄럭거린다”면서 “무게가 50t이 넘는 용각류 같은 거대한 초식공룡은 몸을 식힐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음식물 ... ...
일산에 토네이도 강타, 미국에서나 있는 건 줄 알았는데…
동아일보
l
2014.06.11
한 시간 동안 지속됐다고 밝혔다. 일산 토네이도 발생 원인에 대해 기상청은 한반도
지상
5km 상공에 찬 공기가 머무는 가운데 낮 기온이 30도 가까이 오르면서 대기가 불안정해 강한 비구름이 생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산에서 목격된 토네이도는 바다나 넓은 평지에서 발생하는 매우 ... ...
[표심의 과학, 6.4 지방선거] 첫인상 좋아야 표심도 얻는다?
2014.06.03
연구를 바탕으로 전두엽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뇌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외모
지상
주의나 인종차별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사는 과학동아 2008년 12월호에 실린 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 ...
토종 인공위성 감시시스템 2023년까지 구축
과학동아
l
2014.06.01
특히 제대로 대비하지 못할 경우 큰 피해가 예상되는 1t급 이상 인공위성의
지상
추락 대비 경보시스템과 10cm급 이상의 인공우주물체와 우리 위성의 충돌가능성에 대한 감시 시스템을 2023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미래부는 재해재난 등 공공 사회문제에 위성을 적극적으로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