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것은 한번 쌓인 눈이 녹지 않고 쌓인다는 뜻이다. 눈 속에는 당시의 공기가 기포로 남아 있다. 물속에 쌓인 퇴적물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변화가 나이테처럼 기록된다.아라온 호는 극지의 빙하와 퇴적물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아라온 호에 탑재된 시추기 덕분이다. 10m 깊이의 퇴적물을 시추할 ...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해 보고자 했고, 실험을 맡아 줄 담당연구원이 필요했다. 석사학위 논문에 대한 아쉬움이 남아있던 필자는 국내 최초로 PIV 장비로 실험을 해보고픈 욕심에 선박저항성능 연구실에 뛰어들었다.그렇게 맺은 인연으로 벌써 2년이라는 시간을 PIV 장비와 뒤엉켜 지냈다. 지난해 9월에는 드디어 첫 번째 ... ...
- 하메드의 정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39더군요. 저기 자료 더미에서 39라고 적힌 종이를 찾아보니 세계지도였어요. 이 지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프리토리아에 동그라미 표시가 돼 있었죠.”“그래, 그래서?”“그리고 거울. 거울에 나타난 물체는 실제 물체와 좌우가 바뀌는 특징이 있죠. 따라서 이 지도에 표시된 프리토리아와 ...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전체 면적의 4분의 1에 두께는 9㎞로 쌓여 있는 백악기 지층, ‘경상누층군’에 생생하게 남아 있지. 지금까지 해남과 고성, 화순, 시화호 등에서 발견된 발자국과 알화석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화석 산지가 되었어. 그러다 2003년 5월,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의 허민 교수팀은 보성군 ... ...
-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0호
- 요. 깔따구는 오염된 물에서 사는데, 물에 사는 다른 곤충들이 죽을 때까지도 살아남아요. 만약 오염 된 물에서 깔따구가 90% 이상 관찰되면 *3급수의 물이라고 판단한다고 해요. 어때요? 우리도 알고 보면 쓸모가 많죠? *3급수 : 황갈색을 띠는 탁한 물로 붕어, 미꾸라지, 깔따구 등의 생물은 살 수 ... ...
- ‘어린이과학동아’로 과학자의 꿈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9호
- 만화는 돌아온 갈릴레이였는데, 물리에 대한 내용이 풍부해서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아요. 그런 관심이 계속 이어져과학고등학교에 오게 됐고, 지금은 기계공학을공부하기 위해 대학 진학을 준비하고 있어요.Q ‘어린이과학동아는 ◯◯◯이다’라고 정의를 내린다면?‘어린이과학동아’는 ...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누각도 있어요. 그 중 남문에 해당하는 팔달문과 북문 장안문은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이 남아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꼽히고 있답니다. 가까이 가서 보면 광화문 못지 않게 크고 웅장한 지붕을 볼 수 있어요. 이런 지붕을 만든 비결을 알아보겠습니다.지붕이 날렵한 ‘ㅅ’ 자인 이유는 날씨! 지붕의 ... ...
-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하지 않기 위해 부모를 닮은 배우자를 찾았을 거라고 말했어요. 이런 습성이 지금도 남아 아빠나 엄마를 닮은 사람과 결혼했기 때문에 외할아버지와 아빠, 친할머니와 엄마가 닮았다는 거지요.추석맞이 유전 추적 프로젝트!나는 누구의 어떤 부분을 닮았을까?나의 보조개, 쌍꺼풀, 주근깨는 누구에게 ... ...
- 출동~!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수십 년 전, 무리하게 배리어 리프를 통과하던 배가 암초에 걸려서 침몰한 모습이 지금도 남아 있어(화살표). 라군은 해양생물의 천국!멜라네시아의 전통 배 ‘필로그 더블’을 흉내낸 요트를 타고 1시간을 달려 도착한 무인도 ‘라레니에’와, 배리어리프 가까이에 자리한 등대섬 ‘아메데’에서는 ...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텃새가 돼버린 철새들한국에서 따뜻한 여름을 보내고 쌀쌀해지면 한국을 떠나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는 새는 백로 뿐만이 아냐. 내 친구 왜가리도 있단다. 하지만 요즘 우리들은 가을과 겨울에도 한국을 떠나지 않아. 왜냐고? 먹이가 많아졌거든~. 우리 철새들이 먼 길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