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32년이나 지나서 수상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파격적이다.체외수정 연구는 논란이 아직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과감한 선택으로 평가된다. 시술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난자를 채취하는 부담이 있는데다, 수상자 발표 당일 교황청이 곧바로 “체외수정 기술 때문에 수백만 개의 난자가 죽거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실험에서는 300kA의 전류를 발생시킨 데에 비하면 큰 진전이다. 플라스마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시간도 작년의 3.6초에서 올해 약 6초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은 “내년에는 내부 온도를 1억℃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또 새로운 중성입자빔가열장치를 ...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다란 목각인형으로 남겼기 때문일까. 캐나다 곳곳에는 아직도 인디언의 숨결이
남아
있다. 지역 이름에서도 찾을 수 있다. 퀘벡은 ‘좁아지는 강물’, 토론토는 ‘약속의 장소’를 뜻하는 인디언 말에서 따온 것이다.동물 모습으로 환생하다밴쿠버 북서쪽에 있는 스탠리 공원에서도 울창한 숲을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거에는 외과수술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악성종양인 암이 있었다면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관찰 결과 수백 구 중 오직 한 구에서만 악성종양의 흔적이 발견됐다. 과거에는 지금처럼 암이 일반적인 질병이 아니었던 셈이다.미라뿐 아니라 고대 화석과 고전 문학에서도 암의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국제 광공학회와 미국 광학회에서 석좌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연구할 소재도 한참
남아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주제를 확 바꾼다는 것은 위험했다. 주변에서도 만류했다.하지만 이 교수의 마음은 이미 기울어 있었다. 아직 세계적으로 미개척 상태인 새 연구 주제가 그를 유혹하고 있었다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학습하도록 해. 고3에 맞는 맞춤형 공부를 해야 한단다. 좀 바쁘고 버겁겠지만,
남아
있는 시기가 네 꿈을 좌우한다는 걸 명심해.”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수학, 화학, 생물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최대한 끌어올린 뒤, 자연계 논술과 심층 면접 준비로 이어간다. 2. 언어와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리냐고? 사람이 온 걸 알고 자동으로 모니터가 켜지는 소리란다. 어젯밤에 충전하고
남아
있는 전기가 얼마나 되는지 알려 주고, 지금 전기 요금이 얼마인지도 알려 주지. 어떻게 그런 게 가능하냐고? 조명과 에어컨이 내 기분에 꼭 맞춰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똑똑한 집에는 특별한 도우미,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먼저 정삼각형 4장을 이용해서 피라미드를 만들었어요. 정삼각형이 너무 많이
남아
4개를 더 만들었죠. 만든 피라미드를 쌓았더니…. 앗!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요! 큰 정사면체에 정팔면체 모양의 구멍이 생긴 거예요. 삼각형으로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모두 표현한 거죠. 제 작품 어떤가요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네스북에는 오스트리아의 18살 소년 ‘안드레아 마하비츠’가 1979년에 세운 기록이
남아
있다. 경찰서 유치장에 홀로 갇혔다가 경찰들이 그가 수감된 사실을 잊어 버렸기 때문에 18일 동안 굶주리다가 빈사상태로 발견됐다. 주변 기온 보다는 체온유지가 관건칠레 광부들은 지하에 갇혀 있었기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1000만℃가 안 되면 핵융합 반응을 하는 별이 되지 못하고 그냥 뜨거운 가스 덩어리로
남아
천천히 식는다. 이런 천체를 갈색 왜성(brown dwarf)이라고 하는데 태양계의 목성이 좋은 예다.가스 덩어리의 중심부 온도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1000만℃보다 높으려면 질량이 태양의 0.08배보다 커야 한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