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대형 악어를 토닥거리는 남자
팝뉴스
l
2018.10.22
SNS에서 화제가 된 영상 중 일부이다. 초대형 악어가 물고기를 입에 물었다. 길이는 5
미터
가 넘어 보인다. 몸통의 두께가 성인남성의 갑절은 될 것 같다. 팝뉴스 제공 작은 웅덩이 옆에서 식사를 하던 이 악어에게 한 남자가 다가와 등을 두드린다. 악어를 토닥거리는 남자는 겁이 없는 것일까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두께는 0.3mm이다. -사진 제공 KAIST 구 연구원과 강 교수팀은 이를 극복하고자 100nm(나노
미터
, 10억 분의 1m) 두께의 매우 얇은 실리콘과 잘 구부러지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전체 두께가 0.3mm 수준으로 얇고 크기가 어른 엄지손가락 만한 무선 전자약을 개발했다. 이 전자약은 치료가 필요하 부위에 ... ...
중국에서 잡은 초대형 지네
팝뉴스
l
2018.10.20
위 사진은 괴물 같은 지네의 모습을 담았다. 문제의 지네는 사람 하체 길이다. 1
미터
는 될 것 같다. 이런 지네에 물리면 치명적일 수 있을 것 같다며 해외 네티즌들은 몸서리를 친다. 사진은 중국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빛으로 양자상태 자유자재로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양자 진동주기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 자료: 부산대 연구진은 2016년 수십 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양자 고리(링)를 활용하면, 빛으로 아하로노프-봄 효과를 기존보다 수천 배 높은 온도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자 고리에 쬐는 ... ...
악어인가 공룡인가, 역대급 악어 ‘화제’
팝뉴스
l
2018.10.16
총을 이용해 이 악어를 죽인 것은 소와 양 등 가축을 먹어 치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7
미터
에 이르는 악어는 역대 가장 큰 공포감을 불러일으킨 ‘공룡 같은 악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고혈압·뇌질환 치료 효과 높이는 ‘칼슘채널’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소기관으로 모아 한꺼번에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그 다음 세포 속에 크기 1㎛(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 정도 크기의 극도로 작은 미세전극을 넣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칼슘의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관찰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 속 칼슘 형태는 알파1, 베타, 알파2감마의 3가지로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셀로판 테이프 방법이 대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크기는 잘 해야 수백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작은 편)입니다. Q. 2차원 물질의 장점으로 언급되는 광학적 성질은 투명성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종구조소자를 만들어 발광 소자로 활용할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LED는 최근 조명장치 등으로 쓰이지만 밝은 빛으로 총천연색을 낼 수 있어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단위로 작게 만들면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LED광원을 이정도로 작고 효율이 높도록 만들기 어려워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태근 고려대 ... ...
원자 한층 두께 전자회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활용한 2차원 구조의 에칭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 나노
미터
(㎚·10억분의 1m)두께로 전자회로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몸에 부착하는 초소형 전자기기나 극도로 얇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이관형 교수와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연구진은 수백 나노
미터
크기의 나노 픽셀을 이용해 최적의 구조로 설계해 고휘도에서 기존보다 2~3배 높은 효율을 가진 OLED를 생산했다. OLED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일 때 에너지를 가진 준입자인 엑시톤이 생성된다. 이 엑시톤의 30~40%가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