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판단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수치로 보여주는 거예요. 수치화를 통해 이성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반드시 수학을 직접적으로 는 직업이 아니더라도 수학은 우리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는 뜻입니다. 수학을 사랑하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앞으로 수학을 더 사랑하고 즐기시길 ... ...
- [과학뉴스] 그래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주입한 뒤, 란타늄을 촉매로 넣고 연소시켰다. 그 결과 제올라이트 기공 안쪽에만 탄소 결정이 남았다. 연구팀은 화학약품으로 제올라이트 주형을 녹여 그래핀만을 남겼다. 고성능 전극 재료나 고효율 멤브레인을 만드는 데 활용될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6월 30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가설만 많을 뿐, 답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은하의 색깔 변화를 결정하는 여러 현상 가운데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조건에서 어떤 현상이 작동하는지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 다만 이런 다양한 과정이 은하의 색깔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특정 시점에 빨간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몇 년의 시간과 수백억 원의 돈이 든다). 이것을 일일이 검토해서 법적 대륙붕을 결정짓는 기준점(FOS)을 정한다. 심사국의 주장을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 되기 때문에 관련 해역의 논문도 추가로 찾아서 읽어야 한다. 보통 한 나라의 대륙붕을 심사하는 데 2년 반 정도 걸린다. Q 대륙붕 한계를 정하는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DGIST)3학년 학생이다. 보통 학생은 방학을 집에서 보내지만, 그는 학교에 남기로 결정했다. 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 rog rom) 모임을 위 해서다. U GR P는 DGIST 3학년 학생들이 1년 동안 팀을 이뤄융․복합 연구를 진행하는 학내 프로그램이다. 현정 씨와 다른 동기 네 명의 연구 주제는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못하는 종류까지 포함해 약 8만 개에 달한다는 사실이다. 그중 무엇부터 연구해야 하는지 결정하기도 힘들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생명의료HPC연구센터는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이용해 의과학분야 연구자들의 내비게이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단백질을 이루는 유전체의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정확하게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사람들이 잘 모른다. 하지만 지휘자는 연주의 흐름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산업공학자도 산업의 중심에서 모든 과정을 제어한다.[장우진 교수와 금융리스크공학 연구실 학생들.]오세영 안녕하세요. 산업공학과 4학년 오세영입니다. 교수님께서 지휘자라는 멋진 ... ...
- [과학뉴스]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개체의 모든 세포는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모양과 역할은 다르다. 이런 운명을 결정짓는 원인 중 하나가 줄기세포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노화생물학연구소 후이 꾸앙 레 연구원팀은 줄기세포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세포구조와 유전자 발현이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곳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산, 에러버스와 만났다.남극대륙의 진화를 추론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는 20세기 초에 나왔다. 영국의 로버트 스콧 탐사대가 (비록 남극점 정복의 선수는 빼앗겼지만) 남극대륙에서 채취해 온 표본 15g에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다른 대륙에 서식하는 고생대 식물화석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개수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엌의 일부분을 실험실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서 조금 더 욕심을 부리면, 지난 5월 ‘과학동아’ 특집에 소개됐던 합성생물학 실험실을 꾸릴 수도 있다. 실제로 뉴욕에서는 예술가들이 자그마한 실험실을 만들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조작해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