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 가치를 액수로 환산하기 어렵다. 다만 탐지견 후보가 될만한 어린 개의 가격이 5
백
만원 정도인데다가, 탐지견이 되기까지 순수한 훈련비용만 마리당 수천만원이 든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다.혹시라도 공항에 갈 기회가 생기면 우연히 탐지견을 만날 수도 있다. 인간을 위해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미 15세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처음 소개됐지만, 자전거에 적용되기까지는 약 4
백
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였다.기어는 사람의 힘을 뒷바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사람이 지속적으로 페달을 돌릴 수 있게 했을 뿐 아니라 바퀴의 크기를 줄이는데도 공헌했다. 예를 들어 페달의 체인휠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크리스마스 때 과학강연에 참석하곤 했다. 특히 우리로서 부러운 점은 이 강연회들이 1
백
5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으며, 아직도 크리스마스 강연회의 강연자로 초청받는 것을 과학자로서 가장 큰 영예로 받아들이는 영국의 뿌리깊은 과학문화에 대한 역사와 전통이다.이 책은 1860년도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탄소조차 없는 지역을 찾다가 화산활동이 활발한 옐로스톤 지역을 조사하게 됐다. 수심 2
백
m 아래로 온천을 뚫고 들어가 미생물군을 발견했고, 채플 박사팀은 이들의 DNA서열을 분석해 90% 이상이 고세균 종류임을 확인했다. 보통 지역에서는 미생물 중 고세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단지 2-3%인 사실에 ... ...
중력의 양자효과 처음 관측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양자효과만을 측정하기 위해 극저온 상태의 중성자를 이용했다. 실온에서 산소가 1초에 3
백
m를 이동하는 것에 비해 이 중성자는 1초에 8m를 갈 정도로 매우 느리다. 물론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전자기력에 영향받지 않는다.이같은 중성자를 포물선 형태로 운동하도록 탐지기를 향해 쏜 후,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부착됐다.1975년 마침내 베네라 9·10호가 역사적 임무를 띠고 금성에 무사히 착륙해 흑
백
사진을 찍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1982년에는 베네라 13·14호가 착륙 장소 선정에 미국의 파이어니어 비너스호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착륙한 후 금성표면에서 컬러사진을 찍어 보내왔다. 행성으로부터 온 사진들은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유적지를 발굴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신기술이 나올 때까지 10년이고 1
백
년이고 무작정 기다릴 순 없지 않은가. 가상 복원은 이런 경우 필요하다.가상발굴의 개념은 발굴 후의 영상 복원이 아니라 실제 발굴 작업에 착수하기 전 발굴 유물의 상태와 발굴 유적의 공간 배치 구조에 대한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정결한 곳에 묻는 관습이 있었다. 특히 왕실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태반을 깨끗이 씻어
백
자항아리에 담아 밀봉한 뒤 성대한 의식을 거행하고 고이 보관했다. 이 태항은 왕실의 자손처럼 귀한 사내아이를 낳고 싶은 사람이나, 과거에 급제하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도굴의 표적이 되곤 했다.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막 무령왕릉 입구를 막은 직후의 모습까지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벌써 30년이 지났건만
백
제 역사 연구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단순한 무령왕릉 연구가 아닌 ‘무령왕릉학’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연구 범위가 광범위하다. 이 무령왕릉학 연구의 일부분으로 디지털 복원이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애매하다. 그리고 또다른 구분법을 얘기하는 과학자도 있다. 현재 반도체칩은 선폭이 1
백
nm보다 가늘어지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를 맞고 있다. 나노기술은 바로 이 점을 해결해줄 차세대 기술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즉 지금보다 더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요소들을 집어넣을 수 있느냐가 나노기술의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