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잡을 수 있다는 걸 보입니다. 즉 가구를 한 방향으로만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방 크기에 딱 맞게 확대·축소하며, 가구를 한 바퀴 돌릴 수 있다는 걸 증명한 겁니다. 팔의 문제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항상 f(θ)≥1 이므로, x(θ), y(θ)로 중심을 움직여가면서 가구를 확대 축소하지 않고 돌리면 ... ...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았기 때문에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빗방울의 크기를 추적하기 위해 수평과 수직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더 광선을 보내는 이중 편광레이더를 사용했다. 편광레이더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기의 습도 데이터를 더해 빗방울이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얼마나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재생한다. 이후 계측된 정보를 통계 프로그램과 대조해 뼈의 길이, 두께, 두개골의 크기 등 정보를 확인하고 인종을 파악한다. 생전 사진과 복원된 뼈의 모습을 비교해가며 신원을 확인하는 시도도 가능하다.X선 치아 파노라마 장비 등을 이용해 치아를 정밀 분석하기도 한다. 분석 결과는 유가족의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란다.무생물도 마찬가지다. 듀랑고 개발팀은 산 정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올수록 바위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돌멩이가 많아진다는 사실을 적용했다. 산꼭대기로부터 디스턴스 필드를 지정하면 정상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은 돌이 많아진다.강 기획자는 “디스턴스 필드 덕분에 섬마다 나무를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때까지 눌러서 응력과 점성, 탄성력을 측정한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구멍의 크기와 모양, 개수에 따라 식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수학적인 모델을 만들었다. 3D 푸드 프린터를 이용해 식감을 조절하면 동일한 재료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이 교수는 “사람의 미각은 맛 분자에 의한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빙과류로 불리는 일부 아이스크림은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이는 얼음결정의 크기 때문입니다. 유지방 함량이 높은 아이스크림은 얼음결정의 지름이 35~55μm이지만, 유지방 함량이 0%에 가까운 빙과류는 얼음결정의 지름이 55~70μm로 큽니다. 그래서 부드럽기보다는 단단하고 아삭한 얼음 질감이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름에 π를 곱하면 정확히 둘레의 길이가 나온다는 뜻이지요. 여기서 중요한 건, 원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 비율은 똑같고 π가 ‘무리수’라는 점이에요. 그런데 π와 라디안이 무슨 관계냐고요? 1rad은 위 그림처럼 원의 반지름과, 길이가 반지름과 같은 호가 이루는 각도입니다. 자, 여기서 질문!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 많은 이론이 있다.이 중 FPS에 가장 많이 접목되는 이론은 명암(지광본능)과 공간의 크기(향개방성)다. 김 디자이너는 “대개 사람들은 좁은 곳보다는 넓은 곳으로, 어두운 곳보다는 밝은 곳으로 가기를 선호한다”며 “사이버 공간인 게임 세계에서도 본능적으로 넓고 밝은 길로 간다”고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때 손상된 범퍼가 스스로 복구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작게 만들어 생체 조직으로 활용하거나, 몸 안에 들어가 혈관을 복구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로봇으로 응용할 수 있다. 문 센터장은 “핵심은 ‘변한다’는 4D 프린팅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지만, 단백질은 세포질에 있는 소기관인 리보솜에서 합성된다. 문제는 DNA 분자의 크기가 매우 커서 핵막을 빠져 나오지 못한다는 점이다. DNA가 핵막을 빠져 나와 리보솜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쳐도, 수많은 리보솜에서 동시에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가 없다. 즉, 세포는 핵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