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손 위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했고, 손을 구부려도 고장이 나지 않았답니다. 또한 크기가 약 1cm인 무당벌레의 여섯 다리를 각각 느낄 정도로 민감했지요.제난 바오 교수는 “인공 피부는 로봇 외에도 의료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폴리머를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전자제품을 만들어 나갈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를 통해 계산한 값이에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 크기를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라고 부르지요. 한편 관측할 순 없지만 그 너머의 우주 공간도 있을 거예요. 아직 관측되지 않은 빛은 지구에 도착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거든요. 따라서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더 먼 은하에서 ... ...
- [화보] 비둘기의 알록달록 반전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308종의 새들이 있어요. 몸길이가 18cm인 왜소한 비둘기에서부터 90cm나 되는 큰 비둘기까지 크기가 다양하지요. 모양과 색깔도 다양해요. 머리에 왕관이나 깃을 갖고 있기도 하고, 분홍색과 초록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을 띠지요. 비둘기는 보통 씨앗을 먹어요. 몇몇 부류는 과일을 먹는데, 이럴 경우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습을 세계 최초로 명확하게 촬영한 것이다. 기존보다 저항이 높은 코일을 사용해 장비 크기도 줄였다.장 선임연구원은 “손가락의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실시간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며 “손목터널증후군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을 무릎이나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경기는 세계팔씨름연맹 기준에 맞춘 테이블에서 한다. 테이블의 높이, 팔꿈치 패드의 크기와 위치, 손잡이(핸드 페그)의 규격 등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팔씨름은 ‘통뼈’가 잘한다?인터넷에 ‘팔씨름 잘 하는 법’을 검색하면 여러 가지 비법들이 나온다. 그중에는 과장된 정보들도 많다. ... ...
- [Tech] 모델명 ASUS ROG GLADIUS Ⅱ 마우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SPATHA)은 마우스의 디자인도 사용자의 손에 맞출 수 있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손 모양이나 크기가 다르고 마우스를 잡는 방법도 팜(Palm), 크로우(Claw), 핑거팁(Fingertip) 등으로 다양한데요. 새끼손가락을 받쳐주는 파츠 부분의 디자인을 사용자가 개량할 수 있도록 3D프린터 설계 도면까지 제공하고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부는 유전자에 적혀 있는 공식에 따라, 일부는 주변 환경에 따라, 장기들이 그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기능과 모양만큼이나 제각각입니다. 2. 피부세포가 근육세포가 될 수 없는 이유 세포 하나로 이뤄진 수정란은 몸의 여러 세포가 될 수 있는, 무궁무진한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막강한 비례식비를 비율로 바꿔 보면 재밌는 규칙을 찾을 수 있어요. 1/2=2/4=3/6=…처럼 크기는 같고 분모, 분자가 다른 분수를 살펴보면 이 분수 중에 어떤 두 개를 골라도 두 분수의 분모와 분자를 엇갈려 곱한 값은 항상 같습니다. 를 들어 1/2과 2/4을 골라 엇갈려 곱하면 1×4=2×2가 되고, 1/2과 3/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협을 느꼈을 때 0.2초 길이의 짧은 방귀 소리를 내는 것을 발견했답니다. 방귀 소리의 크기는 50dB 정도로, 2m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는 꽤 큰 소리였지요. 영 교수팀은 소노란 산호뱀이 그 소리를 낼 때 항문 주변의 괄약근을 움직인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괄약근을 이완해 공기를 항문 안으로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할 수 있다. 톰 에반스 엑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연구원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의 상층 대기를 연구하는 흥미로운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8-0067-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