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락
감퇴
쇠퇴
악화
감소
퇴보
타락
뉴스
"
저하
"(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축전기보다 전자를 많이 충전할 뿐 아니라 9000번 이상 충·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이 거의
저하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투어 교수는 “그래핀에 생긴 결함이 축전기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굉장히 흥미로운 결과”라며 “패션 분야나 스마트워치 등에 웨어러블 기기에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새롭게 밝혀냈다. 실제로 C형 니만피크병을 앓는 생쥐의 신경세포에서 이 효소의 활성이
저하
돼 있었고,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킨 생쥐와 교배해 태어난 후손은 신경세포내 지질의 축적이 감소되고 신경 증상이 완화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C형 니만피크병 환자에게서 얻은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웁살라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췌도 혈관 안에 생긴 염증과 혈관섬유화가 췌도의 기능
저하
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에 걸린 쥐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 중 생후 2개월 된 쥐(어린 쥐)의 췌도에 비해 생후 18개월이 된 쥐(늙은 쥐)의 췌도에서 혈관 염증을 알리는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희망을 걸었지만 아직까지 신통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연구자들의 사기도 많이
저하
된 상태다. 연구비 투자도 부족할 뿐 아니라 다른 질병처럼 실험해 볼 동물 모델을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실험용 쥐에게 암세포를 이식하면 암에 걸리지만 쥐가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신뢰할 만한 ... ...
홍상어 4발 쏘고 “합격”… 뒤늦게 결함 발견
동아일보
l
2014.11.05
추후에 결함이 발견되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국산 정밀 유도무기의 신뢰도
저하
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백 의원은 “무기체계의 불량은 연습 상황에서 발견되면 추후 개선하면 되지만 실전 상황이라면 적에게 당할 수 있다”며 “정밀무기는 아니지만 지난달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 ...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고 14일 밝혔다. 성장인자는 기능이
저하
되고 손상된 세포나 조직의 재생을 돕는 데 쓸 수 있는 단백질이지만, 세포 속에서 쉽게 분해 된다는 점 때문에 고농도로 투여하다 보니 부작용이 생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세포막을 잘 통과하는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이온을 흡수하고 방출하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전극에 손상이 생기고 배터리 성능이
저하
된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방전 속도를 다르게 하면서 동일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속도를 5배 이상 빠르게 했더니 이온을 흡수하는 나노입자의 수가 많아져 배터리 손상이 ... ...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그래핀의 결정 사이에 경계면이 생기거나 금이 가는 등 결함이 발생해 그래핀의 성능이
저하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대면적 그래핀의 결함이 가스와 잘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백금 전구체’ 가스를 결함 부위에 정교하게 흘려주면 결함 부위에서 흡착이 일어나 ... ...
“사회적 합의 없는 교육과정 개정안은 무효”
2014.09.03
비판을 이어갔다. 정 교수는 “과학이 어렵다고 가르치지 않는 것은 오히려 학력
저하
로 이어 질 수 있다”며 “아이가 과자만 먹고 싶어 한다고 해서 밥 대신 과자만 줄 수는 없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정 교수는 또 “과학기술에 대한 중요성은 늘 강조하면서 왜 교육에는 과학을 축소하는지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기판 위에 배열할 때 출력
저하
현상 역시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실험결과 기존보다 일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200%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는 엽록소를 비롯해 자연계에 풍부한 알칸닌,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