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정
단언
적정
올바름
언명
결단
단결
d라이브러리
"
단정
"(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06
맡게 된 이화여자대학교 WISE 센터 학생들입니다. 여러분을 만나게 돼 반갑습니다.”
단정
하고 편안한 차림의 여대생 5명이 목련만큼이나 환한 웃음을 지으며 3월 서울 중암중학교 교단에 섰다. 과학반 학생들은 대학생 언니, 누나와의 만남이 설레인 듯 눈빛이 초롱초롱 빛난다.이날은 한달에 한번 ... ...
명배우 뺨치게 연기하는 사이버 배우, 시몬
과학동아
l
200303
얼굴은 살아있는 사람으로 보기엔 왠지 모를 인공적인 냄새가 풍겼으며, 3D 그래픽으로
단정
짓기엔 너무 완벽해보였다. 홍보물 어디에도 시몬역을 맡은 여배우의 이름은 나와 있지 않았다.영화가 개봉되면서 시몬은 캐나다 출신의 모델인 레이첼 로버츠로 밝혀졌지만, 그녀는 시몬을 촬영하면서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02
말했다.사실 현재로서는 독일과 프랑스가 배아복제 문제에서 입장을 크게 바꿨다고
단정
짓기엔 무리다. 유엔에서 독일 대표는 “독일은 이미 모든 복제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안에 반대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제한된 복제금지 협약만이 세계 각국으로부터 즉각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01
그러나 현장의 하얀 천조각이 피의자의 찢어진 하얀 셔츠의 섬유로부터 유래된 것이라고
단정
할 수 있을까. 현장에서 찾은 증거물이 용의자의 것과 동일한 것임을 증명할 수 있을까. 서로 동일한 것임을 증명하는 과정을 '식별'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식별 가능하다는 말은 증거물이 동일한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12
세계로 떠나자.불과 수십년 전만 해도 많은 천문학자들은 우주가 정돈돼 있고 품행이
단정
하며 예측 가능하다고 믿었다.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이자 수십억개의 별들이 모인 은하들 하나하나가 고립된 섬처럼 조용히 지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들에게 충돌하는 은하들 몇몇은 단지 정상적인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11
얽매이지 않는 실험을 많이 했다. 생화학을 잘 몰랐던 탓인지 안될 것이라고 미리
단정
하기보다 새로운 시도를 했던 것이다. 1987년에는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진 ‘단백질 질량분석방법’을 발견했다.단백질은 질량을 아는 것이 중요했지만, 막상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단백질의 질량을 ... ...
2. 불로장생 꿈꾸는 첨단 생약
과학동아
l
200209
물론 지금까지의 연구만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에서 꿈의 항암제를 개발할 수 없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자생식물에서 항암제를 찾아 개발하는 일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무턱대고 뛰어드는 것은 무모한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연구 중 필자가 진행하는 한방의 소갈약 연구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08
문제 등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현재로서는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다. 치료약도 맞춤 제조 시대이에 비해 ‘맞춤약물’은 질병치료라는 대의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다른 저항없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맞춤약물이란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맞춰 개인에게 꼭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2
갖는다.따라서 전체적인 외관이 세한도의 집처럼 벽돌담에 박공지붕을 단촐하게 올린
단정
한 모습이다. 측면벽의 원형 창호 역시 벽돌담에 어울리는 요소다.벽돌과 나무의 절충식 구조벽돌이나 돌을 쌓아서 만든 구조를 조적조라 하고, 나무를 가로세로로 엮어서 만든 구조를 가구조라고 한다. 이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02
김 소장은 “물론 예전에는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나 요즘 보고되는 연구결과를 보면
단정
적으로 그렇게 말할 수는 없다”라고 말한다. “16세기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는 돌고 있다’는 날벼락 같은 주장을 폈지만, 최근 생물학에서도 예전에 정설로 여겨졌던 개념들이 무너지고 있다. 속속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