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핸들
쥐개
손자비
손재비
꼭지
기뽕
d라이브러리
"
손잡이
"(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01
있다. 그런데 만약 버스가 출발해 점점 속도를 내는 가속도 운동을 한다면 버스
손잡이
는 뒤로 쏠릴 것이다. 뒤를 아무리 살펴봐도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할만한 대상이 없는데 말이다. 그래서 이런 관성을 가짜 힘이라고 한다.그런데 아인슈타인은 관성을 중력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중력은 물질로 ... ...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1, 4, 5번 용의자는 지문의 모습이 다르다. 2, 3번 용의자는 물론 지문은 서로 다르지만
손잡이
에 찍힌 지문이라고 의심할 수 있다. 단서3의 정답담을 넘으면서 보인 모습에서 중요한 것은 손과 발의 모습이다. 발은 이미 발자국에서 본 것과 같았다. 손의 특징은 유난히 굵은 엄지손가락이다.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11
꽂아 음료수를 마시며 긴장을 푼다.관객들의 입장이 끝나고, 서부영화에서나 봄직한
손잡이
없는 출입문 위로 커튼이 쳐지면서 무대위로 스포트라이트가 비친다. 열광적인 함성과 함께 5명의 O-Square 멤버가 두팔을 번쩍 들고 힘차게 손바닥을 흔들며 등장한다. O-Square는 명성에 걸맞게 시작부터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아니었다. 페달이 발판 모양으로 생긴 자전거, 바퀴는 매우 작고 안장은 낮은 대신
손잡이
는 매우 높은 자전거, 밑바닥에 스프링 장치가 달려 통통 점프하면서 다닐 수 있는 운동화 등 상식을 뒤엎었지만 여전히 움직임의 역학을 보여주는 것들이었다.무선이동통신 기술인 블루투스를 직접 체험해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09
솥 구조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압력밥솥은 뚜껑을 닫고 안전
손잡이
를 돌리면 뚜껑 안쪽에 달린 톱니바퀴 모양의 체결부가 돌아가 내솥의 돌출부문과 정확히 맞물리게 설계돼 있다.그러나 만일 제작상 결함으로 내솥의 잠금 부분이 맞지 않아 뚜껑이 덜 잠겨졌거나 정확히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4
표면에는 3가닥씩 덧무늬를 2단으로 두르고, 10장짜리 꽃잎무늬 ‘유좌’( 座)에 구슬모양
손잡이
를 달았다. 바닥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 十)’을 돋을새김한 4행 16자의 명문이 적혀있다. 해석하면 ‘국강상에서 잠든 광개토대왕을 기리기 위해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03
목동자리를 찾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북두칠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약간 굽은 곡선인데 이 곡선을 따라 북두칠성 길이 만큼 연장한다. 그러면 매우 밝은 별에 이르게 되는데 이 별이 바로 아크투르스이다. 아크투르스는 올해 봄하늘에서 목성 다음으로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03
사용된,
손잡이
가 겉에 드러나 있는 그립타입이다. 카퍼레이드 등을 할 때 경호원들이
손잡이
를 붙잡고 뛸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운전사 바로 앞 전면 유리창에는 적외선 감지 영상을 보여주는 나이트 비전이 설치돼 있다. 덕분에 총격으로 헤드라이트가 모두 부서져 칠흑 같은 어둠 속에 갇혀도 ... ...
미래 개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세그웨이
과학동아
l
200401
앞으로 움직이고 뒤로 당기면 정지하거나 후진한다. 좌우로 방향을 바꿀 때는 손목 아래
손잡이
를 원하는 방향으로 틀면 그만.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을 하면 한바퀴는 앞으로 돌고 남은 다른 바퀴는 뒤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튼다.최근소식미 국방부와 매사추세츠공대를 중심으로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12
보급돼 여러가지 독특한 형태가 등장했다. 예를 들면 영국이나 프랑스에서는 돋보기처럼
손잡이
가 달린 안경과, 단안경을 눈에 대고 보는 외알안경이 유행했다. 현재의 안경처럼 귀에 안경다리의 끝부분을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기는 1850년 이후다. 이때 벌써 무테안경이 등장하기도 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