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핸들
쥐개
손자비
손재비
꼭지
기뽕
d라이브러리
"
손잡이
"(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08
계기가 되었던8´의 오차는 실제하늘에서 얼마나 작은 각거리일까?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에서 두번째 별 미자르를 보면 그 차이를 느껴볼 수 있다.바로 옆에 알코르라는 별이 붙어있는데 눈이 안좋은 사람은 두 별을 구별하기 힘들다.고대 로마에서는 군인을 뽑을 때 시력을 검사하는 별로 썼다고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08
바퀴를 세게 돌리고,
손잡이
를 좌우로 돌려보면 전체가 회전한다. 이때 회전방향은
손잡이
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다르다. 대개 자이로스코프를 신기해하지만 그 원리를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어서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다. 이럴 때는 사전이나 책을 찾아 자이로스코프가 어디에 쓰이는지, 어떤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05
황사가 그친 맑게 개인 밤하늘의 별빛에도 봄기운이 가득하다.초저녁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에서,아크투루스,스피카로 이어지는 '봄의 대곡선' 근처엔 아득히 먼 시공을 날아온 은하의 빛 조각들이 꽃가루처럼 밤하늘을 채우고 있다.처녀자리 은하단봄의 밤하늘은 다소 황량하게 보인다. 여름에서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05
물보다 먼저 기화된 에탄올이 찬 솥뚜껑에 술이 돼 맺힌다. 솥두껑에 맺힌 술은 솥뚜껑의
손잡이
를 따라 대접으로 모인다.두번째 유형의 소주고리는 대롱을 이용한 것이다. 솥에 술밑을 넣고 좁은 구멍이 뚫린 나무 뚜껑을 덮은 다음 그 구멍에 대롱을 꽂아 기체 에탄올을 바깥에 있는 다른 그릇으로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03
꼬리를 보여주었던 대사건의 중심지이기도 하다.황도에 위치한 사자한편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
가 시작되는 부분에 있는 델타(δ)별과 감마(r)별을 연결해 계속 천정 쪽으로 이어가면 사자자리의 감마별인 알기에바를 지나 알파별인 레굴루스를 찾을 수 있다. 사자자리는 별자리의 모습에서 그 동물을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알파(α)별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북동쪽을 향해 2등성 4개가 12-15도 간격으로 거대한 국자
손잡이
모양으로 이어져 있는데, 이중 첫번째 2등성이 베타(β)별이다. 이곳에서 북쪽으로 2개의 4등성 별을 더듬어 가면 안드로메다 은하의 흐릿한 모습을 육안으로 찾을 수 있다.M31은 5등급의 밝기와 달의 5배가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09
회전축과 질량이 분포돼 있는 거리 간격이 클수록 회전관성도 크다. 긴 야구 배트의
손잡이
근처를 잡고 스윙할 때가 중간을 잡고 스윙할 때보다 더 힘든 것도 회전 관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외줄을 탈 때 곡예사가 양손을 펴거나 긴 막대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은 가능한 한 질량을 회전축으로부터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7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 시스템, 플라스마 발생 장치 등이 필요하다. 이것을 광선검의
손잡이
에 모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지는 의문이다.⑤ 갖가지 모양의 우주 비행선‘에피소드Ⅰ’의 특징 중 하나는 더욱 다양해진 우주 비행선의 등장이다. 공기의 저항을 고려해서 디자인돼야 할 비행기와는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07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1996년부터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개발한 이 시스템은
손잡이
를 잡고 움직이면 어떤 동작도 슬레이브에게 전달할 수 있고, 슬레이브에서 발생한 힘을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또 슬레이브는 두 대의 크고 작은 로봇이 연결돼 있어 미세한 움직임은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04
남쪽 지평선과 천정의 중간 지점에서 빛나는 1등성 스피카부터 찾아야 한다. 북두칠성
손잡이
와 아크투루스를 연결하는 원호의 연장선으로도 스피카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 곡선이 '봄철의 대곡선'으로 봄철 별자리를 찾아보는 기준이 된다. 스피카는 1.0등성으로 밤하늘에서 16번째로 밝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