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마츄어
비전문가
애호가
호사가
문외한
미숙자
평신도
d라이브러리
"
아마추어
"(으)로 총 483건 검색되었습니다.
8월의 페르세우스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508
가을에 접어들던 9월 26일 새벽. 125밀리미터 쌍안경을 사용해 혜성을 탐색하던 일본
아마추어
천문가 기우치 쓰루히코가 새로운 혜성 하나를 발견했다. 새벽 동쪽하늘에서 발견된 이 혜성은 발견 당시 11등급으로 비교적 밝은 편이었고 이미 코마를 형성해 혜성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며칠간의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07
것은 연주시차가 아니었다.18세기 전반 영국 천문학자 브래들리는 구경 15cm의 소형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과거 훅이 했던 관측을 반복했다. 그는 비슷한 결과를 얻었지만 그 값이 연주시차로 예측되는 결과와 방향이 다르고 단기간에 관측한 것에 비해 너무 크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러던 어느 날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05
수많은 소행성들을 찾아내게 된 것이다. 즉 소행성 탐색 분야로만 따져본다면 이제는
아마추어
관측가들이 서 있을 자리가 거의 사라진 상태이며 대형천문대에서 대형망원경으로 하늘을 한번 주욱 훑으며 엄청난 수의 새로운 소행성을 발견해내는 시대로 접어들었다.발견된 소행성의 궤도가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05
창립해 초대회장을 지냈다. 이 학회는 전문가 뿐만 아니라 수많은
아마추어
천문가의 산파 역할을 하고 있다. 몇 년 동안 대전시청을 설득해 4년 전 대전시민천문대를 세웠다. 이후 붐이 일기 시작한 시민천문대는 곧 전국에 10개로 늘어날 예정이다.“어렸을 때 별을 보며 자란 사람들은 뭐가 달라도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01
발견하고자 하늘을 열심히 탐색한 결과다. 최근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 외국의 경우
아마추어
천문가가 새로운 혜성을 발견해 자신의 이름을 붙이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그가 새로 발견한 혜성은 당시 남동쪽하늘의 에리다누스자리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었다. 이 무렵 혜성은 약 11등급의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11
등수가 떨어져 부모가 학교에 불려가기도 했다.그는 “공부만 하는 것보다 라디오 조립,
아마추어
햄 같은 취미 활동에 빠진 것이 전자공학자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한다.백 사장은 지금도 무선통신을 즐기는 햄(HAM)라디오 애호가다. 아파트의 방 하나를 아예 햄 전용실로 꾸며 요즘도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10
맑고 투명한 가을의 밤하늘. 이곳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3대 육안성단의 하나인 페르세우스 운동성단이 있다. 메두사의 목을 단칼에 벤 그 ... 때문에 짧은 시간의 노출에도 의외로 쉽게 찍히며 그 모습도 뚜렷하다. 그래서 많은
아마추어
들에게 멋진 천체사진 대상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09
영역에 위치한 가장 멋지고 돋보이는 대상”이라고 찬사했다. 이런 평가에는 대부분의
아마추어
들도 동의한다.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소구경망원경에서 가장 돋보이는 대상으로 꼽혀왔다. 때문에 공개관측회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단골메뉴다.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을 먼저 맨눈으로 찾아보자.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08
데네브의 바로 북동쪽 위쪽에 있다. 친숙한 별 옆에 있는 만큼 매우 쉽게 찾을 수 있다.
아마추어
관측가들 사이에서는 이들 성운에 대한 오랜 논란이 있어왔다. 과연 이 두 성운이 맨눈에도 보이는가 하는 것이다.사진에는 성운이 대단히 붉고 화려한 색상들로 뚜렷이 나타나지만 눈에는 그렇게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07
것을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 “사람들은 과학의 정답이 하나라고 오해해요. 우린
아마추어
과학자로써 정확한 과학지식을 갖기 힘들었지만 여러 답을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김송희, 서울대 생명과학 2년)정재승 교수는 1995년 12월 과학동아에 데뷔했다. 10년 후쯤이면 이들도 정 교수처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