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마추어"(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정상을 향한 모험! 베이블레이드 X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힘을 가진 팽이, ‘베이’로 승부하는 애니메이션 베이블레이드 X! 아마추어 블레이더 강바람은 패배의 아픔을 딛고 최강의 블레이더가 있는 X타워의 정상으로 향합니다. 팀 ‘페르소나’를 결성한 구이수, 강바람, 나다운과 함께 박진감 넘치는 팽이 배틀의 세계로 가 볼까요? “3, 2, 1, Go Shoot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답니다.통합과학 넓히기 │ 오로라와 비슷한데 오로라가 아니다? 2015년,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모임인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는 소셜 미디어에 특이한 오로라 사진을 올렸어요. 보통의 오로라 모양과 달리, 이 오로라는 보랏빛의 긴 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마치 ... ...
-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주목했어요. 체스를 두는 슈퍼컴퓨터는 20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해, 1970년대에는 아마추어 체스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이후 1989년 미국 컴퓨터 회사인 IBM은 본격적으로 체스 컴퓨터를 개발하기 시작해 ‘딥 블루’라는 슈퍼컴퓨터를 만듭니다.1996년 2월 10일, 딥 블루는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름은 벨기에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수학자 에두아르 제켄도르프에서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2년 논문으로 발표했지만, 최초의 연구자는 아니다. 20년 전 네덜란드 수학자 헤릿 레케르케르커르가 동일한 연구를 먼저 발표했다 ... ...
- 히틀러 딱정벌레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있어요. 이 딱정벌레의 이름은 히틀러 딱정벌레(Anophthalmus hitleri). 1937년, 오스트리아의 아마추어 곤충학자인 오스카어 샤이벨이 처음 발견한 뒤 “아돌프 히틀러 수상을 숭배하며 이 이름을 바친다”고 밝혔지요. 그런데 2000년대 이후 이 딱정벌레 표본을 구입하려는 나치 추종자가 늘면서,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보통 골 때리는 친구들이 아닌데?’ 기자가 ‘상공 30km 목표 아마추어 고체 추진 관측 로켓 개발’이란 제목의 텀블벅 펀딩 프로젝트를 보자마자 한 생각입니다. 텀블벅은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입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졌지만, 이를 실현시킬 자금이 부족한 이들이 ...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맑아요. 우리나라 봄은 기상 조건이 나쁜 편인데, 이 정도면 하늘이 도와준 겁니다.”아마추어 천체 관측 동호회 ‘야간비행’의 이한솔 회장이 말했다. 그의 어깨 뒤로 천문인마을의 공터에 모인 동호인들이 각자의 망원경을 조립하는 데 여념이 없다. ‘메시에 마라톤’은 하룻밤 동안 최대한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관련돼있다. 전문가의 뇌는 이미 특화된 신경회로를 갖추어서 많이 생각할 필요가 없다. 아마추어의 뇌는 가소성이 매우 큰 반면 최적화돼 있지 않고, 전문가는 유연성을 잃는 대신 특정한 일에 통달하게 된다. 적응력과 효율 간에 거래가 이뤄지는 셈이다. 한 가지 일을 잘하려면 다른 일로 통하는 ...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상황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최종안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아마추어 개발자라면 매 순간 내리는 결정의 장단점을 스스로 묻고 답해보세요. 그리고 생각을 문서로 만들어 결정의 근거를 명료하게 정리해보고요. 이를 기반으로 다른 개발자들의 피드백을 받으며 본인의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녀석들이라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생활사도 많다”고 했습니다. 개미를 키우는 모두가 아마추어 연구자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는 점은 갓 개미에 입덕한 뉴비들에겐 장벽이 되기도 합니다. 숲곰개미 님이 활동을 시작한 17년 전은 아직 국내에 개미 관련 커뮤니티가 형성되지 않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