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출판
연속방영
그을음
그스름
끄름
매연
연재만화
d라이브러리
"
연재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9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우주신령과 제자들’은 지난해 10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창간호부터
연재
되기 시작해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실렸습니다. 그동안 어린이 여러분의 사랑을 듬뿍 받아온 만큼 앞으로도 더욱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07
이어 2월 23일부터 3월 3일까지 7회에 걸쳐 1면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를
연재
했다. 글을 쓴 이는 객원기자였던 공민(公民) 나경석이었다.공민은 아인슈타인을 ‘세계의 3대 괴물’ 중 하나로 소개했고, 이어 천문학의 혁명, 에텔(에테르) 부인설, 철학상 의의, 최대속도, 시간과 공간의 관념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06
”양 교수는 이처럼 불교와 물리학을 넘나드는 독특한 글을 한 중앙 일간지에 2년 동안
연재
해 화제를 낳았다. 그 글들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 이번에 나온 ‘과학으로 세상보기’다.“어렸을 때는 할머니 손에 이끌려 절에 다닌 기억이 납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불교에서 관심이 멀어졌죠. 산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03
마틴 가드너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1957~1981년까지 25년 동안이나 수학퍼즐을
연재
한 것이 너무나 인상 깊어 자신도 꼭 한번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마틴 가드너’라고나 할까.정수론이 전공인 그는 현재 박사논문에 그의 모든 열정을 쏟아 붓고 있다. 혹 한동안 그의 수학퍼즐을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01
이곳저곳에 과학에 대한 글을 기고하다 1998년 과학동아에 ‘성의 과학’을 2년 넘게
연재
하며 인기가 크게 올라갔다.“2000년까지 잡지에만 원고지 30장 분량의 과학 칼럼을 100여개 정도 썼어요. 원고지 30장 분량의 과학 칼럼에 관한 한 나만큼 많이 쓴 사람이 있을까요. 이 분야에서 하나의 전형을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07
’ 으로 과학동아 이번호에 데뷔했다. 생활 속 엉뚱한 상상을 과학적으로 펼쳐보이는 새
연재
다. 이들의 상상력이 불꽃놀이처럼 발산되는 것을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 “사람들은 과학의 정답이 하나라고 오해해요. 우린 아마추어 과학자로써 정확한 과학지식을 갖기 힘들었지만 여러 답을 ... ...
만화 그리는 해부학자와 인체 그리는 디자이너
과학동아
l
200405
일화를 소재로 만화를 그린다. 해부학 지식을 쉽게 알리기 위해 이 만화를 과학동아에
연재
하고 있는 그는 “생김새를 알아야 쓰임새와 질병에 대해 알 수 있다”며 해부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받은 원고료를 과학동아 보내주기에 쓰겠다”는 뜻도 밝혔다.요즘 정 교수는 시신을 세밀한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01
게재했던 것을 계기로 ‘과학동아’의 ‘시네마 사이언스’ 코너를 맡아 4년 동안
연재
한 글이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가 됐다면, 늘상 품고 있던 “세상은 얼마나 복잡한가?”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엮은 책이 ‘과학 콘서트’였다. 그래서 ‘과학 콘서트’의 원래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12
과학을 특별한 주제로 한정시켜 생각했다면 지난 10여년 동안 4백50회가 넘게 강원일보에
연재
하고 있는 ‘생물이야기’ 칼럼 같은 것은 당초 불가능했을 일이다.권 교수는 글을 쓰는 것은 아픈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제 글을 쓰지 않으면 몸살이 날 지경이라고 하니 앞으로도 글쓰기를 멈추지는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순전히 ‘취직을 위해’ 신문사에 입사했다. 당시 창간된 잡지 ‘과학세계’에 글을
연재
하면서 과학의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글의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미군들이 읽다 버린 책을 파는 서점을 들락거렸습니다. 여기서 서양 천문학 역사를 비롯한 새로운 과학의 세계를 접하기 시작했어요. 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