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락지
두꺼비
frog
개구리참외
참외
개구리헤엄
헤엄
d라이브러리
"
개구리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년 전에 멸종한 공룡의 피가 남아 있을 리 만무하다”고 말했다. 비어 있는 염기서열에
개구리
유전자를 넣어 복원했다는 설정도 과학적으로는 불가능하다. 이 교수는 “‘쥬라기 월드’에는 갑오징어와 뱀 등 공룡과 계통적으로 거리가 먼 동물의 유전자를 섞는 것으로 나온다”며 “이 경우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해부하던 중 칼이
개구리
다리에 닿자 근육이 꿈틀거리는 것을 목격하고, 경련의 원인이
개구리
의 근육 속에 축적됐거나 만들어진 전기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파비아대 실험물리학 교수였던 알레산드로 볼타는 전기가 근육 수축의 자극원이지만 전기는 외부(접촉한 두 금속)에서 온다고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
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지난 3월 6일은
개구리
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었어요. 그런데 경칩 즈음이면 산 속에도
개구리
를 닮은 식물이 나타나기 시작한답니다. 바로 ‘개구 ... 닮았답니다. 올 봄,
개구리
발톱을 발견한다면 그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 보세요. 어떤 부분이
개구리
의 발가락과 닮았나요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발현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2017년 8월호 기사 ‘체세포 하나가
개구리
로 자란다?’ 참조). 일상생활에서 ‘발현’이라는 단어는 ‘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나타낸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와 유사하게 생물학에서 말하는 유전자 발현은 유전정보가 단백질이나 RNA로 형성되는 것을 ... ...
[게임카페] 게임 개발의 꿈을 향해 점프!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참가자들은 기능을 더 추가했어요. 신정중학교 1학년 장영우 군은 적인 거미가 주인공인
개구리
를 계속 따라오게 만들었어요. 그러자 그 전보다 더욱 스릴이 넘쳤답니다. 둘째 날 참가자들은 완성된 게임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 했어요. 게임 설명을 쓰고, 게임 스크린샷을 저장해 진짜 게임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난자를 이용했습니다.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분열을 지속하는
개구리
난자 추출물에 정자의 핵을 넣었습니다. 염색체를 두 배로 늘린 거죠. 그 결과 세포주기 확인점 기작이 작동하면서 분열을 멈췄습니다. doi:10.1016/0092-8674(94)90256-9 결론은 세포질과 염색체의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야생동물 서식지 문제를 돕자!’라는 목표로 메이커 프로젝트에 도전한 지구사랑탐사대! 총 10개 팀이 지난 10월 21일, 최종 제작물을 발표하기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생긴 생물에 대한 관심이 오랜 시간 연구할 수 있는 힘이 됐어요. 대회는 끝났지만, 금
개구리
를 위해 더 나은 생태수로를 만들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거예요 ... ...
[과학뉴스] 독
개구리
가 독을 품고도 멀쩡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또 마약과 같은 모르핀과 달리 중독성이 없지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1998년에 독
개구리
에서 에피바티딘을 추출해 새로운 진통제를 만들었어요. 이번 연구는 에피바티딘을 활용한 의약품의 효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답니다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말벌로부터 꿀벌을 지켜주기 위해 ‘꿀벌 보호통’을 만들고 있는 송지호 대원(
개구리
친구 팀)은 지금의 제작물을 만들기까지 겪였던 네 번의 실패 경험을 들려 주었어요. “양봉장을 세 번이나 찾아가 양봉가와 인터뷰 했어요. 꿀벌이 말벌 공격을 받으면 벌집에서 30cm는 떨어져야 다른 벌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