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구리"(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실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장 로스탕은 최초로 동물 세포를 냉동시킨 과학자예요. 개구리의 정자에 글리세롤을 넣어서 얼린 결과, 정자의 세포를 망가트리지 않고 냉동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사람도 냉동시켰다가 해동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1972년,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설명을 듣고 정말 불쌍하다고 생각했다”며, “장이권 교수님도 이런 마음으로 수원청개구리 보존을 위해 연구하실 텐데, 앞으로 수청이 탐사에 열심히 참여해야겠다”고 말했지요. 지구를지키는왈랄라 팀의 노희제(대전 전민초 4) 대원은 “곤충이 인간보다 하등한 생물이라고 생각했는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연구원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수조에 놓는 순간을 기다렸지요. 하지만 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잡아먹지는 않았어요. 알고 보니 물장군은 어제 먹이를 먹고 이미 배가 부른 상태였어요.물장군은 뾰족하고 긴 주둥이를 물고기 몸에 꽂아 체액을 빨아먹어요. 그 양이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됐어요. 얼마 전 제주도에 가서 제비를 열심히 찾았어요. 차를 타고 논길을 지날 때는 개구리 울음소리를 더 자세히 듣기 위해 창문을 내린답니다. 곧 시작되는 매미 탐사도 정말 기대돼요!디엘 대원만의 탐사 비법을 알려 주세요~!관찰하고 싶은 생물의 생태계, 즉 서식지를 먼저 알아야 해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낮뿐만 아니라 밤과 새벽까지 탐사가 진행됐어요.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물까치, 황소개구리, 목이,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등 도심에서 만나기 어려운 동식물들을 보고 찾는 즐거움을 누렸답니다.학술적인 성과도 있었어요. 24시간 동안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몸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개구리가 발견됐어요! 에콰도르 샌프란시스코대학교 연구팀은 아마존 지역에서 새로운 종의 개구리를 발견하고, ... 후안 마누엘 과야사민 연구원은 “석유 추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도로 개발 때문에 이 개구리의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살아남기 위해 다른 두 개구리 사이로 뛰어 들어갑니다. 뱀이 접근하기 쉬운 가장자리 개구리를 잡아먹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가운데로 도망가는 겁니다. 해밀턴의 이론은 2012년 앤드류 킹 영국 왕립 수의대 박사팀이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 마리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저장된 RNA로 단백질을 만들어 생존합니다. 그 기간은 생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개구리의 경우 12회, 제브라피시는 10회, 쥐의 경우 1회의 세포분열을 하는 동안 난자에게 신세를 집니다. 본래 난자 안에 저장돼 있는 RNA는 일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RNA의 꼬리 부분에 특정 단백질이 붙어서 RNA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렇게 만들어진 핵 치환 수정란들은 몇 달 후 개구리가 됐는데 모두 다 피부색이 흰 개구리였습니다. 난자의 유전물질이 아닌, 분화된 체세포의 유전물질이 개체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을 더 정확하게 증명한 셈입니다. 이후 과학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해 세포가 분화해 특정한 기능과 모양을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동물이 형광을 내는 이유는 의사소통이나 위장 때문라고 추정한다”며, “앞으로 개구리가 형광을 내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