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 김무웅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생명공학 연구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서 “과학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시의적절한 규제를 마련하기 위해 과학자, 정책가, 대중들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란다도착한 유리 온실은 현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만든 자율 운영 온실이다. 금속공학을 전공한 열혈 엔지니어 D가 화성 토양에서 추출하고 가공한 경량 철재를 골조로 쓰고, 화성의 암석에서 추출한 규소로 유리를 만들어 창을 붙였다. 우주에서 생활하기 위한 모든 물자를 지구에서 보급받는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천 단장은 “나노의학 연구단은 나노과학자, 기계공학자, 화학자, 뇌과학자 등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함께하는 만큼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나노의학은 나노기술을 사용한 의학 연구다. 1m를 10억 개로 나눈 조각, 즉 nm(나노미터) 단위의 물질을 개발하고,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두고 있어. 모기의 유전자를 바꿔서 말이야. 모기 잡는 ‘킬러 모기’ 영국의 생명공학기업 옥시텍은 지난 2021년 미국 플로리다주에 유전자를 조작한 수컷 이집트숲모기알 500만 개를 풀어놨습니다. 1년이 지난 뒤 근처에 있는 모기 알 2만여 개를 모아 보니, 모두 조작된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으로 ... ...
- 탕후루, 과학적으로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평소 단맛을 사랑하는 기자가 식품공학자들을 인터뷰하며 탕후루를 과학적으로, 절대 망치지 않고 만들 수 있는 꿀팁을 배워왔습니다. (!뜨거운 설탕물은 화상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점성이 높아서 피부 접촉 시간이 길고, 그 결과 열이 피부 깊숙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가급적 탕후루는 사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의해 DNA가 손상되는 아주 짧은 순간까지 관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반도체와 같은 전자공학 분야에서도 아토초 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노벨상이 발표될 때면 한국의 현실을 되돌아 보게 된다. 아고스티니 교수가 ‘문턱 넘는 이온화’ 실험을 수행하고, 륄리에 교수가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학계의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국 연구자의 사례는 어떨까? 환경공학을 연구하는 박사과정생 오 씨는 “나름 영어 공부를 꾸준히 하지만 역시 논문을 읽고, 쓰고, 발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학술지에 제출하면 동료 검토를 통해 수정을 제안받는데, 그 이유가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전상은. 경북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전공 교수.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2011년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같은 대학교와 미국 오리건대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6년부터 경북대에서 재직 중이다. 전기화학 기반의 다양한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재를 주로 연구했으며, 특히 활성화 탄소와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제품들을 만드는 그 근간에는 공학이 있고, 이 공학에서 쓰는 게 결국 미적분이거든요. 또한 많은 결정이 일어나는 현실 세계 안에서도 정말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적분, 나아가 수학이 왜 필요한지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습니다. 용어 ...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모든 물체는 구르잖아요? 구르는 물체에 대한 연구는 아주 근본적이기 때문에 물리, 재료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죠. 잠재력이 무척 강한 연구 주제입니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대답이었습니다. 특히나 “수학의 본질은 그 자유로움에 있다”는 칸토어의 말을 떠올리면 더욱 이해되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