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2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위해, 자신만의 학습 일정을 주체적으로 운영한 거죠. 이 학생은 지금 서울대 기계공학과에 재학 중입니다. 한 학생만 말씀드렸지만 이렇게 우수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입학하고 또 이들의 대부분이 학교의 설립 취지에 맞게 이공계열로 진학하고 있다는 점이 과학영재학교의 특성 중 하나일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연구도 미세 패턴 가공 분야의 대가인 니콜라스 팡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홍콩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협력하고 있다.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2024학년도 입시부터 작년보다 10명 더 많은 40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올해 4월, 교육부가 일반대학 첨단 분야 학과의 입학 정원을 확대했기 ... ...
- [포토뉴스] 집안일은 내가 최고! 한국팀 ‘로보컵 2023’ 2개 부문 우승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할 만하다. 타이디보이 팀은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과 이승준 부산대 전기공학과 교수팀이 연합한 팀으로, 연구원 19명으로 이뤄졌다. 타이디보이 팀은 홈서비스 부문의 ‘도메스틱 플랫폼 리그’와 ‘오픈 플랫폼 리그’에 출전해 우승을 거뒀다. 홈서비스 부문은 가정에서 일상 ... ...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를 각 회사가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나타내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강원대 인간공학 메타버스 연구실을 이끄는 김우주 교수는 “메타에서도 (가격을 높이는 대신 높은 수준의 기술을 구현하는) 애플과 같은 방향성을 가진 제품 개발을 진행한다면 금세 비슷한 수준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취득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박사후연구원, 금오공대 조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를 거쳐 2023년부터 연세대에서 재직 중이다.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를 개척한 세계적인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마찰전기 소재 및 소자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kimsw1@yonsei.ac ... ...
- [러셀 탐구생활] 포화 속에서 연구 이어간 스승과 제자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글을 읽었습니다. 침묵의 시간이 흐른 후, 이윽고 러셀이 입을 뗐습니다.“자네는 공학자를 하지 말게.” ◆ 런던 헌책방에서 만난 ◆ 2023년 영국 리즈대학교. “아, 정담 학생 반가워요. 제출한 학기말 에세이를 읽어 봤는데요.”마른침이 꼴깍 넘어갔습니다.“훌륭한 ... ...
- 메타버스로 우주 시대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엔진 개발이 필수인데, 물리적 오류 없이 구현하려면 STEM이라고 불리는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이 대단히 중요하다. 현실의 물리학을 적정한 비용을 써서 구현하면서 신뢰 가능한 수준으로 모방하는 균형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아랍에미리트에 본사를 둔 메타버스 전문기업 ‘에버돔’은 ... ...
- 자연보다 더 진짜 같다 '숨은 로봇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날고 있는 건 로봇 벌과 로봇 나비네요? 공학자가 열심히 심고 있는 식물도 로봇이고요! 공학자의 신비로운 정원에 어떤 로봇이 숨어있는지 찾아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자연보다 더 진짜 같다 '숨은 로봇 찾기' Part1.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 Part2. 잎부터 ... ...
- 잎부터 뿌리까지 '식물도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나뭇잎처럼 얇은 로봇?!2021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팀은 나뭇잎처럼 가볍고 얇은 로봇을 개발했어요. 나무에서 떨어진 나뭇잎은 물속으로 가라앉을 때, 좌우로 움직이며 서서히 내려가요. 로봇은 아주 얇은 필름과 스테인리스 시트를 압착해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뜻이다. 공간 컴퓨터를 가능케 하는 기술 ‘공간 컴퓨팅’은 2003년 미국의 컴퓨터공학자 사이먼 그린월드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쉽게 말해 인간과 컴퓨터가 공간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기술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를 떠올려보자.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모두 2D 화면으로 정보를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