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력"(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V1 은 플래터의 가장 바깥쪽, V2는 플래터의 가장 안쪽 지점의 선속력이다. 실제 선속력은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다만 실제 성능은 정보 처리 과정에서 여러 기술들이 적용돼 그 차이가 2배가 채 되지 않는다.이제 왜 하드디스크의 각 지점의 정보 처리 속도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다. 그럼 몇 가지 ...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새를 당기는 힘인 중력과 새를 위로 뜨게 하는 힘인 양력을 받습니다. 날갯짓을 해서 속력을 내면 날개에서 몸무게 정도의 양력을 만들 수 있답니다. 일정한 높이로 날아가는 새는 중력과 양력의 크기가 같은 상태입니다. 즉 수직 방향으로는 힘의 평형상태죠. 한쪽 날개는 새의 몸무게 반 정도의 ...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행한 계산에 따르면, 높은 투사각도의 슛이 직선으로 던진 슛보다 바스켓에 도달하는 속력의 범위가 넓다. 다시 말해 투사각도가 높은 경우의 슛이 낮은 경우보다 성공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슛을 할 때 왜 커다란 포물선으로 던지는지를 알려주는 사실이다.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이용해 물속에서수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상어와 고래의 속력과 이동 능력을 비교해 보니, 누가 훨씬 뛰어나다고 판단하기가 힘든 것 같아요. 게다가 둘 모두 치명적인 약점을 하나씩 안고 있으니, 수영 대결은 무승부로 해야겠죠?무승부!FIGHT 3 누가 더 셀까?쳇, 샤크 녀석 1승을 ...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지정돼 있는 매는 독도에서 종종 관찰된다. 먹이를 사냥할 때 최고 320㎞ 이상의 속력을 내며 비행한다.거친 바람 속에서 자라는 독도의 식물들독도는 연평균 기온이 12℃이며, 1년 중 85%가 흐리거나 눈과 비가 내리는 날씨에요. 또 바람도 거세서, 연평균 풍속이 초속 4.3m이고, 가장 빠를 때는 초속 2 ... ...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스키가 나란하게 있을 때보다 스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 커져. 그래서 스키의 속력이 점점 줄어들게 된단다. 또 ‘에지’라고 부르는 스키의 날 부분이 마치 생선 비늘을 벗기듯 눈을 긁는 형태가 되면 마찰력이 커지면서 속도가 줄어들지. 아직 속도를 내는 것에 자신이 없다면 스키의 모양을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이를 이용해 두 시계의 오차를 2.3±0.9ns까지 줄였다.이 실험은 중성미자의 한 개의 속력을 측정한 것이 아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만 6000개의 중성미자를 측정해 통계적으로 알아냈다. CERN에서는 한번에 10.5μs(마이크로초, 1μs는 100만분의 1초)의 시간동안 수많은 중성미자를 쏜다. 이 중 중성미자 ...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있던 저압상태의 혼합 기체가 작은 구멍을 통해 진공상태인 다른 공간으로 확산하는 속력을 측정한 실험이다. 진공과 저압 조건이 충족되면 기체 분자들은 서로 거의 충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은 기체 분자 사이에서 충돌이 생긴다. 분자들의 충돌이 증가하면 기체의 흐름이 ... ...
- 최종병기 활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유감없이 드러낸다.미사일이 시속 800km로 지구를 돌아 날아다니는 현대에, 순간 최고속력이 시속 250km 정도 불과하며 최대 사거리가 몇 백m 남짓한 활은 ‘최종병기’처럼 느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활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유서 깊은 무기다. 유교문화에서는 군자가 필수적으로 배워야 ...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하층제트가 상층제트 아래로 통과하면 더 큰 호우 메커니즘이 만들어진다. 초속 25m의 속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상층제트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북상하는 하층제트를 상공으로 빨아들인다. 그러면 하층제트를 타고 북상하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건조한 상공으로 올라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