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확인했습니다. 이 시기 지구엔 초대륙 곤드와나가 있었습니다. 이번 다이아몬드 여행도 시작부터 다이내믹합니다. 판과 판이 충돌해 초대륙이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해양지각은 대륙지각 밑으로 섭입합니다. 초심층 다이아몬드는 곤드와나가 남극과 부딪치고, 남극이 섭입될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ISBN과 같은 번호를 만들자는 발상에서 시작됐습니다. 1998년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해, 지금은 국제 DOI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DOI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사이트의 위치가 바뀌어도 DOI만 알면 접속할 수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찾기 시작했어. 그리고 마침내 2007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실물을 채취했단다! 이뿐 아니라 탐해 2호는 바다 아래 석유 자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어. 독도도 탐사했다던데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심화 활동 참여 기회 등을 얻는다”고 설명했어요. 조윤성 대원은 “12기 활동이 시작되면 민물고기와 수생식물 교육에 꼭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12기 목표도 당연히 전종 수료이고, 관찰 기록도 더 많이 올리겠다”고 각오했답니다. Q.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만난 다른 대원들과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위해서죠.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어떻게, 어떤 변화를 만들었을까요? 교실에서 시작된 변화, 전 세계에 알리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0월 1일 자 ‘어린이들,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 위기를 외치다’ 기사를 기억하나요? 저는 기사에 나온 이지민 학생의 담임 선생님이에요. 지민이를 포함한 22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생 모바일 메신저 채팅방은 ‘오늘은 소수데이입니다’라는 메시지로 하루의 대화를 시작한다. 왜냐하면 여기선 11월 29일(1129)처럼 날짜가 소수인 소수데이에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메시지를 읽었다고 표시할 때도, ‘네’, ‘응’이 아니라 ‘2!’, ‘5’ 같이 소수로 답한다.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미국 센트럴미주리대학교 교수다. 그는 2005년 43번째 메르센 소수 230402457-1을 찾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 44번째, 2013년 48번째, 2016년 49번째(추정) 메르센 소수를 찾았다. 센트럴미주리대 다수의 실험실 컴퓨터에 Prime95를 깔고 꾸준히 작동시켜 왔고, 그중 한 대가 메르센 소수들을 찾은 것이다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기계를 만들었다. 그 결과 1104개의 영점을 구했다. 이후 컴퓨터를 이용해 영점을 구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슈퍼컴퓨터로 10조 개 이상의 영점이 일직선 위에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는 리만 가설을 증명할 수 없다. 10조가 아니라 1000경 개를 구해도 무한을 넘어서지 못하기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꿈꿨기 때문이다. 2013년 여름, 캐나다 수학연구기관(CRM)에서 첫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 그 시기에 해석적 정수론 분야의 뛰어난 수학자와 연구원이 이 지역에 몰려 있었는데, 이것이 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저명한 수학자에게서 통찰력과 배움의 기회를 얻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그랜빌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읽으며 수학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그 이후부터 제르맹은 수학의 매력에 빠져 독학하기 시작했다. 부모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의 강의 노트를 구해 혼자서 공부했다. 그리고 르 블랑이라는 가명을 써서 공부한 내용을 라그랑주에게 적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