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d라이브러리
"
액체
"(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만들 때부터 자연에 덜 미안하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로즈마리 추출액이 담겨 있었다. 화장품을 만들 때 정제수를 대신해 화장품 용기를 채울
액체
였다.“로즈마리는 증류 추출 방식을 쓰지만, 이걸 뺀 나머지 원료들은 대부분 저온 에이징 추출 방법을 개발해 전기 사용량을 줄이려고 합니다.”안 공장장은 과정마다 친환경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다양한 화합물이 들어 있는
액체
에 나노머신을 넣어본 결과, 걸쇠 분자는 pH가 6.8 이하인
액체
에서만 … (하략) 홀로그램(Hologram) SF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 허공에 ‘홀로그램’을 띄워 조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해요. 홀로그램은 그리스어로 ‘완전한’을 뜻하는 ‘Holos’와 ‘정보’라는 뜻의 ... ...
[특집] 비눗방울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경쟁한 결과”라고 표현했어요. ‘표면장력’은
액체
분자가 서로를 끌어당겨
액체
의 표면적을 최대한 작게 만들려는 힘이에요. 비누막에 기체가 분사되면 비누막이 구부러지며 표면적이 커져요. 그러면 표면장력은 비누막의 표면적을 줄이려고 하죠. 표면장력이 표면적을 줄이는 데 성공하면, ... ...
[인포그래픽] 세상에 없던 동위원소 찾는 꿈의 실험장치 FRIB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다시 한 번 전자를 떼어내 초전도가속의 효율을 높임. 전자를 떼어낼 때 사용된 리튬은
액체
상태로 흐르기 때문에 열에 손상되더라도 이온 빔의 품질을 유지함.4.1/4 파장 및 1/2 파장 공명기상온 RFQ 가속기 이후 이온 빔을 추가로 가속하는 장치. 차례대로 1/4 파장 공명기, 1/2파장 공명기가 이온 빔을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이스라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와 NASA가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우주 공간에서
액체
고분자를 굳혀 거대한 렌즈를 만드는 기술 확보가 목표다.유체망원경의 가장 큰 장점은 연마와 광내기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들 과정은 망원경에 쓰이는 렌즈와 반사경을 만들 때 필요한 공정 중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내용이 큰 관심을 끌었다. 혈액을 분석해 암세포가 방출한 바이오마커를 찾아내는 ‘
액체
생검법’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시청자 조현영 씨는 “바이오마커 중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게 따로 있나요?”란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임 교수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진단에 ... ...
[특집] 비눗방울이 깨질 때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비눗방울과 거품, 왜 연구하냐면요!" 원병묵 교수는 기포가 서로 합쳐지는 과정과
액체
속 거품이 에어로졸이 되는 과정 등에 대한 연구를 해왔어요. 이런 연구를 하는 이유에 대해 물어봤어요. Q과학자들이 비눗방울에 관심이 많은 이유가 뭘까요? 비눗방울은 얇은 물막 안에 공기가 차 있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껍질까지 100% 활용한다! 귤껍질 향수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아래쪽에 있으면 고리가 좁혀지면서 방울을 밀어 올려버렸지요. 그 결과 점탄성
액체
에서 공기 방울은 갑자기 튀어 오르듯이 빠르게 올라갔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실험 하나 더!양초를 춤추게 만들어라!두 번째 주인공은 양초입니다! 섭섭박사님은 불만 붙이면 양초를 춤추게 만들 수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여러분은 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먹어서? 벽에 던져서? 최근 기계공학자들이 면끼리 얼마나 붙어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고 ... 훨씬 더 연구하고 싶은 내용이 많아졌답니다. 앞으로 아주 작은 연성물질들이
액체
속에서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입니다 ... ...
[특집] 지구, 어쩌다 생명이 탄생하게 됐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일으켜 지구를 데운 것이죠. 그 결과, 충분히 따뜻해진 지구에선 물이 얼어붙지 않고
액체
상태의 바다로 존재할 수 있었죠. 이로부터 생명이 탄생할 수 있었던 거예요. ●조석력 : 달과 가까운 지구 표면은 달의 중력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반대쪽 지구 표면은 달의 중력이 작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