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간을 ‘흐른다’고 표현하는 것은 붙잡아둘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2023년이 왔다가, 지나가고 있다. 과학은 2023년을 기억할만한 성과와 이슈를 남겼다. 모두를 놀라게 했고, 기쁘게 했고, 또 씁쓸하게 만들었던 10개의 과학이슈를 정리했다. 함께 2023년을 되돌아보자. ① 생성형 AI 챗GPT 사용자 1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결국 황금 양털상은 과학 연구 지원을 축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그노벨상의 목적은 다르다. 이그노벨상은 수상자를 모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수상자들이 한 연구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 널리 알리기 위해서 수여된다. “그래서 이그노벨상은 과학자들이 직접 정하고 수여합니다. 혹시나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논문을 근거로 더 연구할 영역을 자연스럽게 학생 스스로 찾게 되죠. 영재는 남보다 적은 자극으로도 남들만큼, 혹은 그보다 더 나아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에게 적절한 자극을 주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Q.한국과학영재학교의 졸업생 중 특히 선생님의 기억에 남는 학생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의학계는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건강한 조직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최소침습수술’을 지향한다. 몸속에서 의료용 ...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적외선카메라의 관측 자료를 살폈어요. 분석 결과, 폭발이 발생한 이후 별에서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만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관측한 폭발이 두 개의 별이 서로 충돌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별보다 훨씬 작은 행성이 별과 합쳐진 걸 뜻한다고 설명했어요. 별이 행성을 이미 ...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세포!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세포 속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세포질 등 여러 기관이 들어 있어. 교과서에서 본 적 있다고? 잠깐! 여기 하나 더 추가됐다는 소식이 있어. 나, 과학 마녀 일리가 자세히 알아보고 올게!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세포야. 크기가 1~1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튜브, 로블록스 등 온라인 세계에선 재밌고 짜릿한 콘텐츠와 게임을 무료로 마음껏 즐길 수 있어. 그런데 공짜인줄 알았더니 그렇지가 않다고…? 온라인 생활에서 일어나는 나의 디지털 경제활동, 오늘 하나씩 짚어볼게! 세상에 공짜 미디어는 없다? 최근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적 있나요? 영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 국내 사망 원인 2위인 심혈관 질환을 빠르게 진단하기 위해 병원과 협업한 수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국웅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입니다. 국 교수팀은 동맥경화, 혈전,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관상동맥 CT 사진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치료를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자연수가 무한히 많으므로 가능한 정답의 가짓수는 무한히 많습니다. 하지만 제가 적은 수는 단 하나이지요. 따라서 확률은 무한 분의 1, 즉 0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확률이 0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이 숫자를 맞히는 것은 분명히 가능했습니다. 아까 82를 외친 학생이 기막히게도 672,923,102,561을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교수는 “전기 미각 기술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해서, 한 번도 연구가 어려울 거라 생각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미야시타 교수는 올해 저염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식기인 ‘전기 소금’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엉뚱한 상상도 진지하게 계속 연구하다 보면 현실로 이뤄지는 것일까. 그런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