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가비
굴
seashell
패류
d라이브러리
"
조개
"(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에 부딪히거나 뾰족한
조개
껍데기가 파도에 날아와도 다치지 않기 위해서지요.도구를 사용하다니 정말 영리하구나! 사람과 닮은 원숭이들은 더욱 똑똑하겠지?하하, 우리는 사람처럼 손이 있어서 도구를 사용하기가 훨씬 편리해요.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돌인 셈이다. 방해석은 시멘트를 만드는 석회암의 주성분으로, 바다에 사는 산호나
조개
의 딱딱한 골격이 대부분 탄산칼슘으로 이뤄져 있다. 칼슘과 이산화탄소는 바다에서 구하기 쉬운 원료이기 때문에 탄산칼슘 골격을 갖게 되기 쉬운데, 활발한 운동능력을 가진 절지동물 중 삼엽충만 방해석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것은 400km나 떨어진 곳에서 교역을 통해 들어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귀한
조개
를 장식품으로 쓸 정도면 당시 부의 격차가 상당했다고 연구팀은 보고 있다.그런데 지금까지 평등하다고 생각해온 수렵채집 사회에서 어떻게 불평등이 생겨난 걸까. 더글라스 프라이스 위스콘신대 교수는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건축가 마르완 자게이브는 비행기에서
조개
모양 건물의 영감을 떠올렸다고 한다.
조개
는 아부다비에게 문화적으로 매우 친숙한 소재다. 자게이브는 원을 수직으로 세워놓은 건물을 짓기로 했다. 그런데 동전을 세우기 힘들 듯 원의 중심을 잡기가 어려웠다. 막상 지어놓으면 건물이 굴러가거나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잘 알려져 있다. 이 때를 전후해 다른 동물도 상당수 대멸종을 겪었다. 바다에서는
조개
류와 유공충, 플랑크톤, 암모나이트 등이 멸종했고 해양 파충류도 상당수 멸종했다.운석 충돌은 폭탄에 의한 지진과 쓰나미 같은 물리적 충격만으로 일시에 생물을 멸종시킨 게 아니다. 뒤이은 광범위한 산불과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보겠다”고 말했다.한편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숭실대 수학과 황선욱 교수는 “앵무
조개
와 같이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황금비의 예는 생명체의 성장패턴을 황금비로 볼 수 있다는 관점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근거가 부정확한 수학사를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하지 않고 열수에 있는 황화수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어요. 그러면 심해게나
조개
, 새우 같은 동물들이 저…, 아니 저희들을 다시 먹지요. 먹힌 친구들을 위해 잠시 묵념. 광합성이나 산소에 의존하지 않고 화합물을 통해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열수구 생태계는 ‘화학합성생태계’라고 불러요 ... ...
굴 vs 전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게 전복이죠? 정말정말 헷갈려요!박태우(성남 불정초 6)굴굴은 양쪽에 껍데기가 있는 ‘
조개
류’로 바위에 붙어살아요. 알에서 깨어난 굴은 약 20일 정도 바닷물 속을 떠다니다가 바위에 한 번 붙고 나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바위에 찰싹 붙은 채로 살지요. 굴은 바닷물 속의 작은 생물인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때문에 포식 활동의 효율성을 매우 높였다. 삼킨 먹잇감을 놓치지 않게 됐을 뿐만 아니라
조개
처럼 껍데기로 싸여 있는 먹잇감도 이빨로 부순 뒤 안에 들어 있는 여린 조직을 먹을 수 있게 됐다. 즉, 유악어류를 비롯한 턱을 가진 동물이 번성해 지금까지 태평성대를 누릴 수 있는 결정적인 열쇠를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은 조선소를 방문했다가 목재를 파고 들어가 사는 ‘배좀벌레
조개
’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 벌레는 나무를 깎아내 뒤쪽으로 보내면서 새로 판 굴의 표면에는 액체를 발라 굴을 지지하는 놀라운 연체동물이었다. 더구나 자신의 몸은 단단한 껍질로 보호했다. 브루넬은 여기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