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단"(으)로 총 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비행기 연착,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임금 구조와 승무원의 일정을 짜는 데 필요한 요소가 어떻게 비행기 연착이나 운항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근로 시간 외에 약간의 여분 시간을 주고 일정을 교차시키는 ‘완충 배치’ 방법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승무원의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태어난 아이에게 아빠의 삶을 알려줄 만한 것을 만들고도 싶었다. 그의 버킷리스트는 ‘중단한 박사 과정 이수’ ‘아이에게 아빠의 삶을 알려줄 수 있는 작품 남기기’ ‘도전적인 무언가 하기’ 등으로 하나씩 채워졌다.어릴 때부터 그는 콘텐츠 제작에 즐거움을 느꼈다. 서울대 공대에 재학 ... ...
- 담배는 담배일 뿐, 향기에 속지 말자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향과 멘톨(박하) 향을 제외한 가향 성분이 들어간 모든 액상 전자담배 판매를 즉각 중단시켰다. 뉴욕주 외에 미시간주, 워싱턴주 등도 이 같은 조치를 단행했다. 전자담배 성분 공개 안 되는 게 문제 담배의 유해성이 처음으로 밝혀진 건 1964년 1월 미국 국립 위생협회(NSF)에서 발간한 ‘흡연과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는 동물에서도 일정하게 나타나죠.그런데 생물이 죽고 땅에 파묻히면, 14C의 흡수가 중단돼요. 즉, 시간이 지날수록 생물의 조직 속에 들어있는 14C는 질소로 붕괴되면서 더 줄어들겠죠. 이 줄어든 비율을 측정하면 그 생물이 죽은 시점을 계산할 수 있는 거예요. 이 방법이 개발된 이후로 ...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나라였다. 하지만 미국의 미사일 기술 확산 억제에 대한 강력한 의지 때문에 협력 추진을 중단하고 일관된 규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기술협의 및 자문에는 관심을 보였으나 기술이전이나 핵심 부품 수출에는 신중한 입장이었다.인도는 개발도상국으로는 최초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했고, 프랑스, ... ...
- Q.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또 이런 오염수는 하루에 170t씩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사고가 난 게 8년 전인데, 가동 중단된 원전에서 계속 오염수가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가장 큰 이유는 원전 건물 내로 지하수가 계속 유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언론 보도에서는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원전 안에 남아있는 핵연료를 ... ...
-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수소를 금방 다 써버리고 핵융합 반응이 중단되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별의 팽창이 중단돼요. 그러 면 별은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밀도가 높 은 상태로 수축하지요. 이 현상을 ‘중력 붕괴’라 해 요. 중력 붕괴를 겪는 별은 엄청난 폭발을 일으키 는데, 이것이 바로 ‘초신성’이에요. 특히 ... ...
- [시사과학] 신맛 사탕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온몸이 짜릿해지도록 신맛이 강렬한 ‘신맛 사탕’! 좋아하나요? 그런데 혹시 신맛 사탕을 먹다가가 입 속 피부가 까진 적은 없나요?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 ... 적당히 먹는 게 좋다”면서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자극이 생기면 즉시 먹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답니다 ...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공동 토론회(이하 토론회)’에서 “일본이 소재 공급을 중단하면서 반도체 산업의 연결 고리를 일방적으로 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Q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는 반도체 공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 A 포토레지스트로 덮고, 플루오린화수소로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고려해 발사 방위각 허용범위를 설정할 수밖에 없다. 발사체의 비행을 강제적으로 중단시키는 경우에는 발사체가 그 지점에서 바로 낙하하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순간낙하점 한계선). 이를 사전에 판단하고 폭파 명령을 내리기까지의 시간 지연을 고려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