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단"(으)로 총 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10년부터 북한에 결핵약을 지원해오던 국제단체 ‘세계기금’이 올해 6월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뒤였지요.결핵이라니, 여러분에겐 생소한 질병일지도 몰라요. 하지만 북한에서는 결핵이나 장티푸스, 류마티스열 등 세균성 질환이 흔해요.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한 결과 북한 내에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통해, 북한의 비핵화 과정이 약 9~16년 걸릴 것으로 내다봤어요. 가장 먼저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그뒤 2~5년 동안 점진적으로 핵시설 가동을 줄이며, 6~10년 동안 핵시설을 해체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 특히 ‘2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표적항암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암 치료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문제에서도 진전을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비정상적으로 종료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원인을 알아낸 것만으로도 다음 발사체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며 “우리새-2호의 발사 성공 의미를 충분히 얻었다”고 밝혔다. 발사팀은 11월 4일 우리새-2호 2차 발사에도 성공했다. 이번에는 데이터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등을 우주에 올려놨다. 우주왕복선은 몇 차례 사고를 겪으며 2011년 7월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됐다. 현재 NASA는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우고 우주로 나갈 수 있는 ‘오리온(Orion)’을 개발하고 있다.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NASA는 예산 악화를 만회하기 위해 우주왕복선 외에 또 다른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의 전력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일본은 이를 끝으로 전자기파방식 연구를 중단했다. 미국도 2008년 사실상 전자기파방식 연구를 접었다. 가장 큰 문제는 낮은 효율이었다. 전자파가 퍼져나가면서 거리가 멀수록 수신기에 도달하는 전자파가 적어져 효율이 10~20%에 그쳤다. 이 때문에 원하는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8월 현대자동차는 디젤 차종 4개 모델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 자리는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오염물질이 없거나 최소화된 친환경 자동차가 대체할 전망이다. 유종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앞으로 20년 뒤에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이용한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의 최신 기술을 반영하기 어렵다. 더욱이 위성항법시스템을 중단 없이 운용하는 과정에는 다수의 위성과 지상 시스템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시스템 전체를 새로운 기술로 바꾸는 일은 새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 만큼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전동기가 엔진을 보조하며 연료 소모를 줄인다. 감속할 때나 내리막에서는 연료 공급을 중단하고,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는 전기에너지로 전환돼 배터리에 저장된다. 화석 연료를 전혀 쓰지 않는 에너지 자립형 주택을 에너지 ‘제로 하우스’라고 한다. 자연의 에너지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난방과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여객기와 달리 주둥이가 뾰족한 모양이었다. 1976년 운행을 시작한 콩코드는 2003년 운항을 중단했다. 여객기에 가해지는 충격파 앞뒤의 압력차에 의해 생기는 굉음(소닉붐)으로 운행에 제약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도 소닉붐은 기술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 그래서 초음속 비행은 일정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