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거미에게는 ‘한국구슬거미(Telema coreana)’라는 이름이 붙여졌답니다. 한국구슬거미는 지난해 2월 경상남도 합천군의 한 동굴에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발견된 장소는 입구에서 약 80m 떨어진 습하고 어두운 곳이었어요. 거미는 동굴 벽의 틈에서 거미줄을 치고 매달려 있었지요. 몸길이는 1~1.5mm ... ...
- [가상 인터뷰]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감미료로 승인한 이후 지금까지 약 50년간 무설탕 음료나 과자에 사용되어 왔어. 그런데 지난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이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분류 등급인 ‘2B급’으로 분류해 몸에 해로울 수 있다는 논란이 불거졌지.Q. 2B급은 어떤 의미야?A,. 국제암연구기관은 ... ...
- [기획] 그래미 수상 가능! 인공지능 음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인공지능으로 곡을 써서 그래미 상을 노려볼까인공지능으로 누구나 음악을 만든다! 지난 6월,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스’의 멤버인 폴 매카트니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틀스의 마지막 앨범을 준비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사람들은 먼저 세상을 떠난 비틀스 멤버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데 ... ...
- [섭섭박사 메이커] 3D 프린터가 내 손안에? 3D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3D 펜은 예열 후에 펜촉의 온도가 높으니 사용할 땐 반드시 보호자의 지도를 따르세요. 지난 4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은 마요네즈처럼 부드러우면서도 형태를 잘 유지하는 3D 프린터용 전도체* 잉크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실제로 연구팀은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지금보다 훨씬 느렸다는 사실을 최근에 밝혀냈다네. 지금보다 5배나 느렸던 초기 우주 지난 7월, 초기 우주의 시간이 지금보다 5배가량 느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호주 시드니대학교 물리학과 게라인트 루이스 교수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 통계학과 브랜던 브루어 교수팀은 우주에 ... ...
- [특집] 진실 혹은 거짓, 아인슈타인의 실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동시에 오류와 실수가 포함된 수식도 함께 적혀 있었습니다. 세상에 나온 지 100년도 더 지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그간 발견되지 않았던 우주의 많은 현상을 예측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1916년에 예측한 중력파는 2016년에 처음 관측되어 그의 이론이 옳았다는 게 밝혀졌으며, 201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살아가는 동물을 직접 관찰하고 촬영했습니다. 사와로 선인장이 팔을 뻗는 이유는? 지난 5월 미국 애리조나 주에서 열린 시민과학 학술 대회 마지막 날, 피닉스 시 북쪽에 있는 사막식물원에 갔을 때였습니다. 주차장을 지나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바로 사와로 선인장을 마주쳤어요. 그것도 가지가 ... ...
- [만화뉴스] 불 속으로 뛰어드는 소방관 파이어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공동연구팀은 불길을 뚫고 화재 현장을 정찰하는 ‘파이어드론’을 개발했다고 지난 6월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열에 강한 폴리아미드 등의 복합 소재와 열 전달을 늦추는 공기층을 만들어 드론을 감쌌죠. 그 결과, 드론은 200℃에서 10분 이상 견딜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파이어드론이 소방관보다 ... ...
- [가상 인터뷰] 암흑 물질 탐정 등장!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 안녕! 자기소개 부탁해. 난 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이야! 지난 7월 1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우주로 발사됐어.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제2라그랑주점(L2)’으로 이동할 예정이란다. 지구에서 약 150만 km 떨어진 그곳은 ... ...
- [현장취재②] 우동수비대 4기, 미어캣 정형행동 관찰 현장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이상 같은 지점을 왔다 갔다 하는 정형행동을 ‘페이싱’이라고 한다”고 설명했지요. 지난 6월 30일 오후, 경기도 모 실내 동물원에서 우동수비대(우리 동네 동물원 수비대) 4기 현장 교육이 열렸습니다. 이날 우동수 대원들은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미어캣 6마리의 행동을 꼼꼼히 관찰해 기록했어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