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일본 최대의 바다거북 산란지이자 애니메이션 의 배경으로도 유명한데요. 지난 6월 6일부터 11일까지 지구사랑탑사대와 함께 천혜의 섬 야쿠시마를 탐사한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눈 마주치지 말기! 먹이주기 금지 야쿠시마에 도착하자 콧속으로 비 내음이 물씬 풍겼어요. 이곳은 1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있습니다. 물고기뿐 아니라 저어새, 큰기러기 같은 새들도 하구로 와 겨울을 나곤 해요. 지난 6월 부산시가 발표한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기록을 보면,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낙동강 하구에서는 연평균 160종의 조류가 관찰됐습니다. 그중 고니류는 2900~9300여 마리가 발견됐답니다. 원자 번호 8번,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모습이 마치 바둑에 쓰이는 검은 돌과 흰 돌을 연상시켜 바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죠. 지난 6월, 건국대학교 줄기세포재생공학과 박찬규 교수팀은 우리나라의 토종개 ‘바둑이’의 집단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이전에도 바둑이를 복제한 연구가 있었지만, 50마리 이상의 집단을 형성한 것은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콩은 잘 자랐지요. 렘 홍 밍 교수는 전 세계 곳곳을 다니며 개량 콩을 심고 있습니다. 지난 5월 렘 홍 밍 교수팀은 콩에서 추출한 미생물을 중국의 화물 우주선 톈저우 6호에 실어 우주로 보냈습니다. 이 미생물은 톈궁 우주 정거장에서 6~8개월 머물다가 지구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렘 홍 밍 교수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수년간 지구의 기온을 올리는 온난화에 영향을 줄 거라는 전망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지난 6월 20일, 미국지질조사국은 통가 해저 화산 폭발 당시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궤도위성 고스(GOES)-17의 데이터를 분석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 ...
-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눈’을 만들고 있다는데,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요?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4호는 지난 2019년,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2020년 발사된 창어 5호는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달의 토양 표본을 수집해 왔어요. 달 탐사선이 임무를 잘 수행하려면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지사탐 활동은 80명의 어과동 독자가 모였던 비교적 작은 모임이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 3000명이 넘는 대원들이 함께하는 큰 프로젝트가 되었다”고 감회를 밝혔어요. 그러면서 “지사탐 대원들이 항상 기록을 하듯, 시민과학 활동은 데이터를 생성한다”며 “만들어진 데이터의 접근성을 높이고, ... ...
- [시민과학콘] 지사탐×국립수목원, 벚꽃엔딩 프로젝트 그 결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것을 알 수 있었지요. 식물의 개화는 온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알려졌어요. 지난 30년의 3월 평균 기온(6.3℃)과 올해(8.6℃)를 비교하면 기온이 크게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지요. 즉, 이번 벚꽃엔딩 프로젝트를 통해 기온 상승은 벚꽃의 개화 시기를 빨라지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 볼 거예요! 크리에이터 양양에게 방법을 물어봤습니다! 지난 20화에서는 가상공간인 제페토에서 사용할 3D 아이템을 직접 만들기 위해 모델링하는 방법을 배워 봤어요.● 모델링을 하고 나면 아이템을 몸에 딱 맞게 제작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제페토 앱의 설정으로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갈리폰 교수는 “공벌레는 실험 후 자연으로 돌려보냈고, 군부는 실험 후 6주가 지난 뒤에도 수조에서 살아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살아있는 유기체를 로봇의 손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