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레이저를 개발하면서 세계 최고 출력 레이저의 타이틀을 거머쥔 곳이다. 이 기록은 7년이 지난 2023년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에선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된 아토초 레이저 연구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더 짧은 펄스인 젭토초(10해분의 1초) 펄스 연구도 활발하다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참여하지 못했다. 이렇게 소외됐던 그가 돌연 우두법의 전파자로 부활한 것은 40년 이상 지난 1928년, 조선을 패망시키고 한반도를 통치하던 일본 조선총독부의 기획 때문이었다. 당시 총독부는 조선의 식민 통치를 정당화할 요소를 지석영의 행적에서 찾아냈다. 그를 ‘일본인에게서 (근대적)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료용 로봇을 움직여 최소침습수술의 ‘끝판왕’을 꿈꾸는 연구자들을 만났다. 지난 9월 21일 DGIST E5동에서 MBR Lab(Multiscale Biomedical Robotics Lab멀티스케일 의료 로보틱스 연구실)을 운영하는 박석호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사진 촬영을 위해 둘러본 실험실에는 굵은 코일과 전선이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최초의 나비를 찾았어요. 이와 함께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0.1111/1748-5967.12678 독도점등에모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집모기와 어떻게 다를까.지난 11월 5일 만난 논문의 제1저자 이원규 연구원은 “개와 고양이 정도로 둘은 완전히 다른 종”이라고 설명했 다. 전 세계에 모기는 3500종, 우리나라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모기는 56종에 달한다.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억날 만한 ‘썰’도 있어야 하겠죠. 이찬민(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학사과정) 씨는 지난 7월, 첫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의 꿈을 안고 말레이시아에 갔다가, ‘최애’ 밴드가 말레이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발언을 해 공연 도중 끌려 나가고(!) 페스티벌이 취소되는(?!) 경험을 했습니다. 그는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중성미자는 왜 중요할까 중성미자 실험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김 단장은 “지난 2년 동안 테스트해 왔던 저온 검출 장비가 드디어 내년 예미랩에서 작동을 시작한다”며 “이 장비로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를 더 높은 한계까지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양의 신선한 농작물을 생산할 것.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 임무는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지난 한 해 동안 화성에서 상추, 케일, 가지, 마리골드, 무, 배추 등을 재배했다. 얼마 전엔 직접 재배한 농작물로 김치를 담그기까지 했으니 한국인으로서 채소로 할 일은 다 했다고 볼 수 있다. 식량을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작품이다. 이 길엔 먹고 사는 문제나 인간 관계처럼 매우 당연한 어려움이 섞여있다. 이 지난한 과정에서 한 가지 깨달음은 얻었다. “절대 포기하지 말자. 버티는 자가 결실을 맛본다.”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인 동시에, 글을 처음 쓴 6년 전과 지금의 내게 하고픈 말이다. 부디 모두 포기하지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개수가 늘어났다”고 설명했어요. 반면 수학 영역 만점자는 지난해 수능 934명, 지난 6월 모평 648명이었는데, 이번 9월 모평 2520명으로 크게 늘었어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자 교육부는 “전국 의대 모집 정원이 3000명 가까이 되기 때문에 (만점자) 2500명 정도 수준으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