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합"(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본질은 수동적인 ‘형태’가 아니라 능동적인 ‘움직임’인 거죠. 그리고 이 움직임들의 집합을 우리는 바로 ‘군’이라고 부릅니다. 정답은 6가지입니다. 시계방향을 기준으로 60°, 120°, 180°, 240°, 300°, 360° 회전이 있죠. 보통의 정육각형이었다면 반사도 있었겠지만, 소용돌이 모양이 반사를 ... ...
- [수학뉴스] 아사프 나오르, 2019 오스트로브스키상 영예 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두는 연구 분야는 그래프의 최적 분할입니다. 그래프는 점과 점들을 연결하는 선들의 집합으로, 그래프 최적 분할 문제는 다항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방법이 밝혀지지 않은 NP-완전 문제입니다. 현재 나오르 교수는 그래프를 정확히 같게 두 개로 나눠 최적의 근사치를 찾는 알고리듬을 연구하고 ... ...
-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을 즐기게 만드는 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내용은 대부분 논문으로 출간됐을 정도로 어렵지만, 김 교수의 손끝에서 순열, 행렬, 집합 등 기본적인 수학 개념만 알면 이해할 수 있게 탈바꿈합니다. 각 게임의 마지막 쪽에는 수준별 도전 문제가 있어 푸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수학을 배운다는 생각을 버리고 가벼운 마음으로 보드게임을 ...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때 최소 수의 개수가 N÷(loglogN)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밝힌 거죠. 이 기준은 소수로 이뤄진 집합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페루제 연구원은 “소수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 ...
- 보이저…태양권을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들어간 건지 알 수 있었을까요?태양계는 행성, 혜성, 해왕성 바깥을 도는 소행성의 집합체인 ‘카이퍼 벨트’ 등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들을 말해요. 그런데 태양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은 우리가 보통 태양계의 범위라 생각하는 해왕성까지의 거리보다 훨씬 넓어요. 태양은 플라스마 상태의 ... ...
- [섭섭박사와만들라보~!] 크리스마스에는 카드를~라보로 비밀 카드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코딩하면 캐롤을 들려주는 멜로디 카드 완성! 이해하기 | 지금까지 익힌 코딩 기능 총집합! 이번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는 지금까지 ‘만들라보’에서 다룬 라보 코딩의 총정리라고 할 수 있어요. 우선, 섭섭박사님은 조이콘이 크리스마스 카드를 인식하도록 만들기 위해 ‘IR 카 메라’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알아낸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연구팀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 전파망원경이 감지한 3개의 전파 신호를 비교해 서로 다른 속도의 두 은하가 하나로 합쳐지고 있다고 판단했어요. 은하의 산소, 탄소, 먼지에서 방출된 전파 신호를 분석한 결과였지요. 또 이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구성된 수학적 대상입니다. 꼭짓점의 집합 V와 V의 원소 두 개로 구성한 선을 모아놓은 집합 E의 순서쌍 (V, E)로 정의합니다. 지도의 각 나라마다 꼭짓점을 그리고, 두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 두 꼭짓점 사이에 선을 연결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선을 잘 그리면 서로 다른 두 선이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겨울왕국을 만든 디즈니는 물론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드림웍스, 픽사 등에서도 등위집합을 사용했어. 또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한 스탠리 오셔 UCLA 교수는 공로를 인정받아 2014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가우스상을 받았지.이번에도 ‘렛잇고~♬’에 버금가는 겨울왕국 신드롬을 만들 수 있을까?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된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란 나노입자의 표면에 있는 자유전자들이 빛에 의해 집합적으로 진동하면서 강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이를 활용하면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를 ‘플라스모닉스(Plasmonics)’라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