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합"(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1로, 3을 2로 보내는 치환은 가 된다. 이제 양의 정수 n에 대한 모든 치환들을 모아놓은 집합을 Sn이라 하면, Sn의 원소의 개수는 n!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치환은 함수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Sn에 속하는 임의의 두 치환 σ, γ에 대해 합성합수 σ。γ를 생각할 수 있고, 이 함수도 Sn의 원소가 된다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코로나 전파 위험은 낮으며 학업과 정서를 위해 등교를 미룰 수 없다는 주장과, 그래도 집합을 줄이는 게 안전하다는 주장이 대립하는데요, 쟁점을 비교해 봤습니다. 쟁점 1. 학교 코로나 전파 위험 낮다?“교내 전파는 실제 드물었다” 등교수업 확대 논란에 불을 지핀 것은 정은경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더구나 현재 사용되는 AI 대부분이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하고, 그 데이터 집합에서 발견되는 규칙성 혹은 패턴이 가까운 미래에도 성립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AI의 산출물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비판하는 것은 그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견한 그리브스 교수팀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천문대(JCMT)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에 감지된 파장을 분석했는데, 반박 논문을 낸 이그나스 스넬렌 네덜란드 레이덴천문대 교수팀은 ALMA의 자료를 재분석했죠. 그리브스 교수팀은 ALMA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배경 신호들을 제거하고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할 때 쓰는 확률분포함수 p(e|f) 에서 e는 영어, f는 한국어 단어의 집합이다. 이때, 한 단어에도 뜻이 여러 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의 ‘눈’은 영어로 ‘snow’나 ‘eye’로 번역할 수 있다. AI는 확률분포함수를 계산해 문맥에 맞을 확률이 더 높은 단어로 번역한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허수(bi)를 더해 z=a+bi꼴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실수는 복소수라는 집합에서 b가 0인 부분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체 원의 회전 대칭과 복소수가 무슨 관련이 있는지 궁금해할 독자들이 많을 텐데요, 아주 간략히 설명하면 좌표평면에 절댓값이 1인 복소수들을 그리면 반지름이 1인 단위원이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승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시에르핀스키는 앞서 소개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집합론 외에도 위상수학, 정수론에서도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정수론에서는 ‘시에르핀스키 수’가 유명합니다. 시에르핀스키 수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k×2n-1이 합성수가 되게 하는 홀수 k를 말합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수는 모두 무한하지만 자연수의 개수보다 실수의 개수가 훨씬 많다’ 등 무한한 집합끼리도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보인 사람 역시 칸토어였죠. 19~20세기를 대표하는 또 다른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는 칸토어의 이러한 발견을 일컬어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이라고 표현했습니다. ... ...
- [과학뉴스] 가스 뿜어내는 은하, 최후 맞이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외계천문학센터 연구원팀은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로 외부은하의 가스를 관찰하던 중 외부은하 ‘ID2299’가 대량의 가스를 방출하는 현상을 관측했다.연구팀은 은하에서 방출되는 빛을 분석해 가스의 양을 확인했다. ID2299가 1년 동안 방출하는 가스는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시작할 수 있죠. 슬기로운 수학생활 1번 문제도 미해결이에요. 이론적인 연구도 있어요. 집합이나 정수 같은 특정 수학 개념에 대해서 깊게 공부하다 보면 “이런 개념도 필요하지 않을까?”, “이런 관점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그 생각을 발전시키는 것이 이론적인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